참고자료

[식품안전] 아메리칸 룰렛 – 오염된 건강보조식품

첨부파일

NEJMp0904768.pdf (184.87 KB)4449_우리나라국민식이보충제.pdf (681.38 KB)

피터 A. 코헨이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에 기고한 “아메리칸 룰렛 – 오염된 보조식품”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

아메리칸 룰렛 – 오염된 보조식품

피터 A. 코헨(의사)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가운데 한 곳에, 범죄보다도 비만을 더 걱정하는 경사  한 명이 있다. 그의 주치의는 수년 동안 몸무게를 줄이라고 권고해왔고, 수백만 명의 다른 미국인들처럼, 그는 체중감량 보조식품을 통해 넘쳐나는 살을 빼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그는 살이 빠지기는 커녕, 직장에서 해고되고 말았다. 그는 브라질에서 수입되어 미국에서 판매되는 다이어트 제제를 복용ㅎ했는데, 그 라벨에는 여러가지 천연성분 중에서 비타민 E, 병풀(centella, 병을 고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마데카솔 연고의 원료가 되는 풀 이름), 차풀(senna, 설사게 나게 하는 약의 원료), 갈매나무(cascara, 묽고 물컹한 변을 배출하게 하는 설사약의 원료)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가 소변약물검사를 받았을 때 검출된 암페타민은 라벨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현재 해고된 경사의 경우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오염된 보조제는 최근 생겨난 공중보건 상 위험을 상징한다.

2009년 8월, 미 식약청(FDA)은 공표하지 않은 즉효성의 약물 성분을 광범위하게 함유 제품들을 적발하였는데, 대부분 보조식품이라는 라벨을 붙이고 있었다. 현재 140개 이상의 오염된 제품들이 확인되었으나, 이 제품들은 단지 시장에 출시된 오염된 보조제들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불행하게도, 보조식품을 관대하게 규제 감독하는 것은 FDA의 자원(예산과 인력 등) 부족과 결합하여 제조업자들이 사실상 처벌을 받지 않고 유해한 신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시장을 창출하였다. 비록 제조업자들은 2007년부터 보조제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을 FDA에 보고하도록 요구받고 있지만, 매년 5만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작용의 대부분은 보고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최근 보조식품을 소비하는 미국 성인 인구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1억 1천 4백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국건강면담조사(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에 따르면,  이러한 추세는 특히 우려스럽다. 식물성분,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조직추출물 등을 함유한 이와 같은 보조제들은 1994년 제정된 보조식품 건강 및 교육법( 1994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DSHEA)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다. 1994년 이전에는 약초 제품을 식품첨가제로 간주하였으며, 그러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자들은 판매를 하기 전에 안전성에 관한 증명을 제시하도록 요구받았다. 1994년 보조식품 건강 및 교육법에 통과된 이후로는 보조식품들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거의 감독을 받지 않고 판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소비자와 의사들은 보조식품에 대한 규제환경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독립여론조사 기관인 Harris Poll의 2002년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보조식품이 정부 당국에 의해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믿고 있었다. 그리고 소비자의 2/3는 정부가 보조식품의 잠재적인 부작용과 위험성을 경고하는 문구를 제품 라벨에 붙이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의사들도 역시 잘못 알고 있었다. 15개 미국 수련의 훈련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내과 레지던트 3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조사에서, 응답자의 1/3이 보조식품은 FDA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믿고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보조식품이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작용 사례들은 반드시 FDA에 보고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보조식품 건강 및 교육법(DSHEA)은 오염된 보조제를 검출하여 퇴출시킬 수 있는 FDA의 능력에 심각한 장애가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독성이 있는 식물성 물질, 중금속, 세균 등으로 오염된 광범위한 보조식품이 확인되었다. 수많은 보조식품이 안전성에 대한 우려때문에 FDA가 금지하고 있는 처방약물, 규제 성분, 실험적 혼합물, 약제 등에 오염된 것으로 드러난 것은 특히 염려스럽다.

이러한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성분들이 검출된 제품들은 당뇨병, 고지혈혈증, 불면증 환자들에게 판매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제품들에는 대부분 성적 능력 증강, 적절한 운동성능, 체중 감소 등을 약속하는 라벨이 확인되었다.

미국 성인의 15%가 소비한 것으로 추산되는 체중 감소를 목적으로 판매된 보조식품을 포함한 최근의 사건들은 이러한 문제들이 점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2009년 7월, FDA는 공표되지 않은 약품이 75개의 오염된 체중감소 제품을 포함하여 경보를 확대하였다.

FDA는 체중 감소 보조제를 분석하여 자극적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 식욕감소 비만치료제)이  1일 최고 권장량의 3배 용량이나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심각한 부작용 사건은 보조식품에서 몇몇 승인되지 않은 식욕감퇴제 성분이 검출과 연관이 있다 : 리모나반트(rimonabant)는 자살과 연관이 있으며, 펜프로포렉스(fenproporex)는 (마약)중독과 자살 둘 다에 연관이 있다. 이러한 보조식품에는 푸로세마이드(furosemide)와 다른 이뇨제들이 함유되어 탈수와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과 항우울제에 오염된 제품들은 의존성의 증가된 위험이 생기는 동안 흥분제의 부작용을 감춘다.

…. 이하 생략…

======================================================

American Roulette — Contaminated Dietary Supplements

Posted by NEJM • October 7th, 2009 •

Pieter A. Cohen, M.D.

View the webcast of Body Building Products and Hidden Steroids: Enforcement Barriers, a hearing held on September 29, 2009 by the U.S. Senate Committee on the Judiciary’s Subcommittee on Crime and Drugs.


In one of the most dangerous cities in the United States, one portly police sergeant has more to worry about than crime. His doctor had been encouraging him for years to lose weight, and like millions of other Americans, he decided to try a weight-loss supplement to help him shed his extra pounds. But instead of losing weight, he lost his job. According to the label, his diet pills, which were imported from Brazil and sold in the United States, contained vitamin E, centella, senna, and cascara, among other “natural” ingredients. Not included on the label was the amphetamine detected in his urine drug screen. The now-unemployed sergeant is not alone. Such contaminated supplements represent an emerging risk to public health.


In August 2009,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discovered more products, most of them labeled as dietary supplements, that contain a wide variety of undeclared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Now, more than 140 contaminated products have been identified, but these represent only a fraction of the contaminated supplements on the market. Unfortunately, lenient regulatory oversight of dietary supplements, combined with the FDA’s lack of resources, has created a marketplace in which manufacturers can introduce hazardous new products with virtual impunity. Although manufacturers have since 2007 been required to report serious supplement-related adverse events to the FDA, the great majority of the estimated 50,000 adverse events that occur annually remain unreported.


This trend is particularly alarming given that, according to a recent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about 114 million people — more than half the adult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 consume dietary supplements. These supplements, which include botanical products, vitamins and minerals, amino acids, and tissue extracts, are regulated by the FDA under the 1994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DSHEA). Before 1994, herbal products were considered food additives, and their manufacturers were required to show proof of safety before marketing them. Since the passage of the DSHEA, dietary supplements are presumed to be safe and can be marketed with very little oversight.


The regulatory environment for dietary supplements is poorly understood by both consumers and physicians. According to a 2002 Harris Poll, the majority of consumers believed that dietary supplements are approved by a government agency, and two thirds thought that the government requires that labels on supplements include warnings about their potential side effects and dangers. Physicians are also misinformed. A recent survey of more than 300 residents in internal medicine from 15 U.S. training programs showed that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dietary supplements require FDA approval, and the majority did not know that adverse event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supplements should be reported to the FDA.1


The DSHEA presents serious obstacles to the FDA’s ability to detect and eliminate contaminated supplements. A wide range of dietary supplements have been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toxic plant material, heavy metals, or bacteria. Of particular concern are the dozens of dietary supplements that are contaminated with prescription medications, controlled substances, experimental compounds, or drugs rejected by the FDA because of safety concerns. These potentially hazardous ingredients have been detected in products marketed for patients with diabetes, high cholesterol, or insomnia but are most frequently found in products that promise sexual enhancement, optimal athletic performance, and weight loss.


Recent events involving dietary supplements marketed for weight loss, which have been consumed by an estimated 15% of U.S. adults, illustrate this growing problem. In July 2009, the FDA expanded its alert to include 75 tainted weight-loss products that contain undeclared medications. Analyses by the FDA have found the stimulant sibutramine in weight-loss supplements at levels amounting to three times the maximum recommended daily dose. Several of the unapproved anorectic ingredients detected in dietary supplements have been linked to serious adverse events: rimonabant to suicide and fenproporex to both addiction and suicide. The inclusion of furosemide and other diuretics in some of these supplements may result in dehydration and hypokalemia; other contaminants, such as benzodiazepines and antidepressants, mask the side effects of stimulants while conferring an increased risk of dependence. Some weight-loss pills, including many from Brazil, combine multiple medications in a single formulation.2


Recently, unscrupulous manufacturers have made it more difficult for the FDA to detect undeclared ingredients by incorporating pharmaceutical analogues into their products. Analogues are created by modifying the original chemical structure of a compound — for example, by adding a hydroxyl group. It is suspected that these analogues are developed to evade detection by the FDA, making the products more difficult to regulate, and to reduce the risk of patent-infringement lawsuits. A recent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26 supplements marketed for the enhancement of sexual function contained analogues of phosphodiesterase type 5 inhibitors.3 Because these analogues have never been studied in humans, their risks are unknown, but unexpected adverse reactions to analogues have already been documented. Reports from Britain, China, and Japan, for instance, link an analogue of fenfluramine to liver damage, including fulminant hepatic failure necessitating transplantation.4,5


Many contaminated dietary supplements are sold over the Internet, but they have also been found in mainstream retail stores in the United States. Many of the tainted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China, but they have also been produced closer to home. In July 2009, federal agents executed search warrants to investigate allegations that a California-based company, American Cellular Labs, was manufacturing supplements contaminated with anabolic steroids.


Given the potential for dietary supplements to result in side effects and adverse interactions with drugs, physicians should explicitly ask all patients about the use of such supplements. Contaminated supplements expose consumers to additional health risks: common side effects may be misdiagnosed, and drug–drug interactions overlooked. Of even greater concern, it may be impossible to prove that the culpable contaminants are responsible for life-threatening sequelae, leaving future consumers at risk.


Physicians should maintain a high index of suspicion for supplement-induced adverse effects — even when the components on the label are not known to cause the observed effects. When appropriate, physicians should have supplements tested in clinical laboratories to detect unreported substances, and they should always report to the FDA both suspected adverse effects (through MedWatch, www.fda.gov/medwatch/report/hcp.htm) and suspected unlawful Internet sales of medical products (www.fda.gov/oc/buyonline/buyonlineform.htm).


The DSHEA has not ensured that hazardous dietary supplements will be identified or removed from the market in a timely fashion. I believe that Congress should give the FDA the requisite authority and resources to regulate dietary supplements so that the public can make well-informed decisions regarding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of consuming such supplements. Until that happens, millions of Americans will continue to be exposed to unacceptable risks in exchange for purported but unproven health benefit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Source Information


From the Cambridge Health Alliance, Somerville, MA;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This article (10.1056/NEJMp0904768) was published on October 7, 2009, at NEJM.org.


References




  1. Ashar BH, Rice TN, Sisson SD. Physicians’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 of dietary supplements. Arch Intern Med 2007;167:966-969. [Free Full Text]
  2. Cohen PA. Imported fenproporex-based diet pills from Brazil: a report of two cases. J Gen Intern Med 2009;24:430-433. [CrossRef][Web of Science][Medline]
  3. Poon WT, Lam YH, Lai CK, Chan AY, Mak TW. Analogues of erectile dysfunction drugs: an under-recognised threat. Hong Kong Med J 2007;13:359-363. [Medline]
  4. Adachi M, Saito H, Kobayashi H, et al. Hepatic injury in 12 patients taking the herbal weight loss aids Chaso or Onshido. Ann Intern Med 2003;139:488-492. [Free Full Text]
  5. Lai V, Smith A, Thornburn D, Raman VS. Severe hepatic injury and adulterated Chinese medicines. BMJ 2006;332:304-305. [Free Full Text]

==========================

[참고] 주간건강과질병, 2008-07-18 /제1권  16호, 질병관리본부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보충제 이용 현황


Use of dietary supplements in Korea, 2007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팀   








Ⅰ. 들어가는 말


  건강에 대한 우리 국민의 관심 증가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님은 분명하나, ‘웰빙(wellbeing)’이라는 용어의 출현 이후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많은 정보와 관련 제품들이 쏟아져 나온 것 역시 사실이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것도 불과 6년 전인 2002년이며 건강기능식품이라는 용어 자체가 국민 대부분에게 아직 익숙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건강기능식품은 웰빙의 바람을 타고 몇 년 사이에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최근에 개정된 건강기능식품의 법률적 정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3조 1항에서 명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이다. 이는 기존의 조항에서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한 식품”이라는 표현으로 형태를 제한했던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2008년 9월부터 적용), 향후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및 그 이용자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 및 영양상태에 관한 국가 대표통계를 생산하는 법정조사로서 건강수준, 건강관련 의식 및 행태, 그리고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 있는 통계를 산출하고 국가보건정책 수립 및 평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우리 국민의 영양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현황 파악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조사범위에 영양소 제제와 함께 건강기능식품의 이용현황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2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1년)까지는 단순히 건강보조식품 등의 복용 경험과 동기에 대해서만 조사하였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섭취 현황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제3기 조사(2005년)부터는 복용하고 있는 제품의 이름, 제조회사, 복용빈도, 1회 복용분량, 제품의 형태 등을 함께 조사하고 있다[1].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소 제제를 묶어 식이보충제로 정의하고 있다[2]. 여기에서 식이보충제는 비타민제, 무기질제, 종합영양제 등 영양소 보충을 목적으로 제조된 일반의약품 및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된 제품으로 정의하되, 국내에 등록된 제품이 아니더라도 기능성 원료나 성분을 사���하여 가공한 제품을 외국에서 직접 구입하거나 친지로부터 선물로 받아 섭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함시키도록 하였다. 건강원 등에서 개인적으로 제조한 추출액, 환 등의 제품과 한약 등은 구성성분을 알기 어렵고, 제조 목적, 제품명을 통한 구분 등에 불명확한 점이 있어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 글은 개정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의 시행을 앞두고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우리 국민의 식이보충제 이용 현황과 그 추이를 살펴보는 기회를 갖고자 작성되었다.


 



Ⅱ. 몸 말


  1. 식이보충제 이용현황 조사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및 제4기 1차년도(2007년) 영양조사부문 원시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는 해당 년도 4-5월에 전국 200개 조사구에서 실시되었으며 제4기 1차년도 조사는 2007년 7월 16일부터 2008년 1월 14일까지 전국 100개 조사구에서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의 식이보충제 문항에 대해 응답한 제3, 4기 대상자 수는 각각 9,004명, 4,090명으로, 각 기별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별 분포는 Table 1과 같다. 




 본 조사에는 최근 1년 이내 식이보충제의 복용경험 여부 및 복용 동기와 함께 현재 복용 중인 식이보충제에 대해서는 주로 섭취하는 제품 종류(최대 4종), 제조회사명, 제품명, 유형, 복용기간, 복용빈도, 1회 복용분량 등을 포함하였다(Table 2).



 Table 3, 4 및 Figure 1에서 기술하고 있는 결과는 가중표본합계치에 따른 구성비로서, 각 표본조사구의 표본으로 추출된 확률이 조사구마다 다르고, 조사 가구수 비율 및 참여율이 조사구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단순표본합계치를 표시하지 않았다.
 가중치 산출에는 성과 연령이 고려되었으며 결과 이해 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값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2. 주요 결과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식이보충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33.4%였다. 이는 제3기 결과인 25.9%의 약 1.3배 수준으로, 2년 사이 7.5% 포인트 증가된 것이다(Table 3).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률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50-64세(38.9%), 1-5세(38.2%), 6-11세(35.7%) 순으로 식이보충제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4기 1차년도 결과를 위주로 건강 행태별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률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34.4%)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28.5%)보다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확인 여부, 흡연 여부, 고위험 음주 여부 등의 건강행태별 분석에서도 아침식사 여부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의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았다(Figure 1).




 현재 복용하고 있는 식이보충제의 수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식이보충제의 제품 수를 1가지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2가지 이상으로 응답한 경우도 29.8%에 달했으며 이는 제3기 조사 결과(20.2%)에 비해 10% 가량 증가한 것이다. 연령별로는 식이보충제를 1가지만 섭취하는 비율이 19-29세(83.1%)에서  가장 높았으나, 2가지 이상의 제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한 비율은 50-64세(45.0%)에서 가장 높았고 19-29세(1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4). 




 


Ⅲ. 맺음말



  이상과 같은 식이보충제 이용 현황으로 미루어 볼 때, 식이보충제 복용율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도 1990년대 초반에 비해 최근 식이보충제 이용자 규모가 3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지금도 계속 성장해간다고 보고되었다[3].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조사 자료로부터 19세 이상의 성인에 대해 식이보충제의 복용 동기를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친지 등 주변 인물의 권유에 의한 복용이었으며, 의사의 권유를 복용 동기로 응답한 경우는 6% 미만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문가의 조언 없이 식이보충제를 선택하고 복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결과만을 근거로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보충제의 올바른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대상자가 섭취하고 있는 각각의 식이보충제가 조사되기는 하지만 그로부터 공급받는 성분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제품별 성분함량 데이터베이스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건강기능식품 신고 시에 접수된 구성성분과 함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중이므로 조만간 이를 활용한 식이보충제 이용현황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에서는 국가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대상자 중 18세 이상 영어 사용자에 한해 최근 1년 이내의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 및 식이보충제 섭취와 관련된 부작용의 경험 여부를 전화로 조사한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4]. 이 논문에 의하면 미국 성인의 73%가 최근 1년 이내에 식이보충제를 복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중 부작용을 경험한 성인은 식이보충제 복용경험자 중 4% 수준이었다. 이 4%의 보고자 중 실제 식이보충제에 의한 부작용으로 밝혀진 대상자가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미국의 식이보충제 복용경험자 4명 중 3명 가량에서 2가지 이상의 식이보충제를 병용 섭취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부작용 발생이 그리 흔한 것은 아니라 판단된다.
 식이보충제의 복용제품 수에만 근거하여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으나, 2가지 이상의 식이보충제를 병용할 때는 이들에 포함된 동일(종)의 성분이 중복되어 과잉 섭취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특정 제품의 복용 여부를 결정하기 이전에 그 구성 성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반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영양소 제제는 물론,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은 제품 포장에 구성성분과 함량이 잘 기재되어 있으며 권장 복용 수준 역시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제품에 구성성분과 함량이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구성성분에 대한 배경지식 없이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여러 다른 제품에 들어있는 유사 성분을 찾아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학계에서는 일반 섭취자들로 하여금 성분표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읽어볼 수 있도록 홍보하고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쉬운 식이보충제 관련 정보를 생산·보급하도록 하는 한편, 생산업체들로 하여금 이에 동참하도록 독려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끝으로 식이보충제 이용 시의 일반 권고사항을 정리하는 것으로 본고를 맺고자 한다[5].








 < 식이보충제 이용 시 일반 권고사항 >
 - 기능성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제품인지 확인합니다. 건강기능식품 혹은 영양소제제는 질환을 진단, 예방, 
   치료하는 약품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기능성을 과다하게 강조하는 광고는 허위·과장된 광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해진 복용량과 복용방법, 복용 시 주의사항을 준수합니다. 특히, 의사의 특별한 지도 없이 식이보충제를 과잉 섭취할 경우 
   오히려 건강상의 위해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 다른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에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식이보충제 복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Ⅳ.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진행보고서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2005.
 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침서 III – 영양조사-, 2007.
 3. Millen AE, Dodd KW, Subar AF. Use of vitamin, mineral, nonvitamin, and nonmineral supplem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1987, 1992 and
     2000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s. J Am Diet Assoc. 2004;104:942-950.
 4. Timbo BB, Ross MP, McCathy PV, Lin CT. Dietary supplements in a national survey: Prevalence of use and reports of adverse events. J Am
     Diet Assoc. 2007;106(12):1966-74.
 5.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안전 정보지 1, 2008.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