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한국의 사회위기지표와 위기 수준

첨부파일

보사연 보건복지이슈와 포커스 38호2010528.pdf (1.33 MB)

한국의 사회위기지표와 위기 수준


2009년 12월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의 김승권 등이 작성한 보고서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를 토대로 이 사회에서 인식하는 위기지표들을 소개한다. 
보사연 보건복지이슈와 포커스 38호2010.5.28.pdf


광의의 위기개념은 한 사회에서 유지되어 오던 평형감(平衡感), 질서, 권위, 합의, 도덕성 등에 가해진 사회 내‧외부의 충격으로 기존의 사회체제의 변화여부가 생기는 상황, 그 변화로 인한 충격과 사회적 우려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협의적 개념으로는 ’외부 또는 내부의 적(enemy)’에 의한 위협이 있는 상황이거나 그러한 위협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혼란 상태를 의미한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의 위기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위기수준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불모지 영역인 위기지표 연구를 통해 향후 사회 위기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새로 개발된 지표들을 토대로 그 증감을 살피며, 위기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언했다.

한국인의 사회위기지표2.gif


이에 김승권 등이 개발한 사회위기지표는 다음과 같이 10개 영역, 44개 지표로 구분된다. 위 지표들은 다음과 같은 원칙 하에 선정되었다. 첫째, 측정가능 또는 생산 가능한 통계를 지표로 개발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시계열 통계자료의 확보가 가능하고, 셋째, 공공기관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 의하여 생산되는 통계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넷째, 영역별로 국제비교가 가능한 지표를 최소 1개 이상 포함한다는 내용 등이다.


이러한 원칙 아래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반영하여 사회위기 10개 영역의 55개 지표를 내놓았으며, 이에 대해 델파이 조사로 44개 지표를 최종 선정하였다. 아래, 표1 참조.
table1.gif


한국사회에서 지난 2008년 세계 경제 위기로 인해 그 한해의 위기 수준을 살펴보면, 심각한 위기 수준(3.2점 이상) 으로 보이는 지표는 실업률, 중.고등학교 중퇴비율, 고령화지수, 출산율, 요보호아동수, 파업손실일수, 지역간 소득격차, 원유가, 소비자물가지수, 경제성장률, 환율, 투표율, 지역별 정당득표집중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2 참조.
table2.gif

송윤희 연구원 요약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