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석달 끝이 안 보인다
327만마리 살처분, 재산피해 1조5천억..2차 환경오염 우려 고조
출처 : 연합뉴스 2011/02/15 06:30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1/02/14/0301000000AKR20110214037200053.HTML?template=3536
(전국종합=연합뉴스)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석 달 동안 전국 각지로 확산하면서 가축 수백만마리가 살처분되고 조(兆) 단위의 재산피해를 낳는 등 전례 없는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더구나 살처분한 소와 돼지를 묻은 수천여곳의 매몰지 중 상당수가 규정을 지키지 않고 허술하게 관리되는 바람에 침출수 유출과 지하수 오염 등 2차 환경오염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어 구제역 사태의 종식은 아직 멀게만 느껴진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피해..”백약이 무효” = 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시 와룡면 모 양돈단지 내 돼지 농가 2곳에서 사육하던 돼지가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된 이번 구제역 사태는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번지면서 이미 전국을 초토화했다.
처음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은 농가들은 같은 달 23일부터 구제역 의심신고를 했으나 방역당국이 간이 키트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나자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미온적으로 대처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농가의 거듭된 의심 신고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해 양성 판정이 났을 때는 이미 경북지역은 물론, 경기도 등지로 전파된 상태였다는 게 검역당국의 잠정 결론이다.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11월 29일부터 12월 중순 사이 예천, 봉화, 영덕 등 경북도내 시ㆍ군에서 구제역이 잇달아 발생한 데 이어 12월 14일 이후에는 경기도 양주, 파주, 김포 등지로 확산됐다. 이어 12월 말까지 강원도와 충북 등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해 정부는 위기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지역별 방역대책본부를 총괄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기에 이르렀다.
그동안 정부는 각 지역에 이동통제초소 2천400여곳을 설치해 사람과 가축,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고 소독과 함께 우제류(소, 돼지 등 발굽 두 개인 동물) 가축 살처분에 힘썼으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지 못했다.
그 결과 15일 현재 전국적으로 인천, 충남, 대구, 경남, 부산 등 9개 시ㆍ도 70개 시ㆍ군ㆍ구에서 146건의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번 사태로 살처분된 가축은 소 15만마리, 돼지 311만2천여마리, 염소와 사슴 8천여마리 등 총 327만여마리에 달하며, 이로 인한 보상금 등 재산피해는 1조5천억원에 이른다.
지난 6일 부산 사하구 돼지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미발생지역에서 새로 접수된 의심가축 신고가 없어 다소 주춤하는 분위기였지만 14일 대전 동구 하소동의 한 농장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돼 성급한 기대였음을 입증했다.
당초 정부는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고자 살처분 중심으로 대응하다가 경북에 이어 경기, 강원지역으로까지 확대되자 ‘마지막 수단’인 예방백신 접종을 지난해 12월 22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31일까지 전국에서 1천188만마리(소 355만, 돼지 833만)의 가축이 구제역 예방백신을 맞았고 현재 항체 형성률을 높이기 위한 2차 접종이 실시돼 이달 말 완료할 예정이다.
2차 접종에서 소는 접종대상 354만마리 중 133만마리(37.6%)가 주사를 맞았으며 돼지는 880만마리 가운데 93만마리(10.6%)가 접종을 마쳤다.
축산농민들은 백신접종이 시작될 때 구제역이 진정되기를 기대했으나 접종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가축 폐사 등 사고가 잇따르자 효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난 6일 구제역이 발생한 국립축산과학원 산하 축산자원개발부(충남 천안시 소재) 돼지는 지난달 1, 2차 접종을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하면 2주 경과후 가축 몸 안에 60% 정도 항체가 형성되고 3주가 지나면 형성률이 80%에 도달한다”며 “항체가 가축 몸 안에 충분히 형성되기 전에는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있다”고 해명하고 있다.
◇”2차 환경오염 우려”..공무원 9명 순직 = 구제역 사태로 방역작업에 투입된 공무원들이 과로 또는 사고로 목숨을 잃거나 다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피해가 가장 큰 경북에서만 4명의 공직자가 순직했고 경기 2명, 전남 1명, 경남 1명, 군인 1명 등 총 9명이 목숨을 잃었고 각 시ㆍ도별로 수십명씩 병상에 누워있다.
임신한 여성 공무원이 초소 등에서 밤샘 근무를 하다가 유산하거나 유산 위기에 처한 사례가 이어졌으며, 매몰 작업 중 흙더미에 깔려 중상을 입는 등 크고 작은 사고를 당한 공무원이 많다.
축산농가에서는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는 과정에서 농민이나 수의사가 가축에게 밟히거나 차이고 주삿바늘에 찔리는 등 민간인 부상도 30여명에 달했다.
전국적으로 가축 살처분이 진행되면서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유출되고, 이로 인해 하천과 토양이 오염되는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지난달 21-22일 구제역 돼지 5천여마리를 묻은 충북 괴산군 소순면 소암리 매몰지에서는 매몰 3일 만에 살처분 돼지의 핏물이 흘러나와 5~6m 떨어진 계곡으로 흘러들었으며, 전국적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가 잇달아 발생했다.
환경부 가축매몰지 환경관리지침에는 하천에서 30m 내에 매몰지를 선정할 수 없도록 규정했으나 단기간 내 많은 가축을 매몰해야 하는 일부 시.군이 적절한 매몰지를 확보하지 못하자 하천과 가까운 곳이나 경사가 심한 장소에 묻은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충북 충주시는 지난달 30일 가금면 돼지농가 1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50m 정도 떨어진 한포천변 땅을 파고 살처분 가축을 묻으려다 하천과 지하수 오염을 우려한 주민 반발로 중단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와 한나라당은 지난 10일 구제역 후속 대책회의를 열어 소와 돼지 집단 매몰지의 환경오염 전수조사를 하기로 했다.
보건단체 관계자는 “봄이 와서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으면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이 심화돼 주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며 “구제역 사태가 일단락되더라도 이 같은 환경오염을 감안하면 완전 종식까지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홍창진 윤우용 이연정 정묘정 김영만 김도윤 임보연 최찬흥 기자)
realis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