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삼성반도체 백혈병] 인바이론사와 청부과학자들

[삼성반도체 백혈병 조사 관련]

청부과학의 저자 데미비드 마이클스가 소장으로 있는 The Project on Scientific Knowledge and Public Policy 프로젝트 (http://www.defendingscience.org/)



인바이론사(Environ)
http://www.environcorp.com/


Firm History



ENVIRON was founded in 1982 in Washington, D.C., as a privately held consulting firm providing a broad range of services to clients concerned with the problems of human exposure to potentially hazardous substances in the environment; in food ingredients and packaging; in drugs, medical devices, and consumer products; and in the workplace. The strong demand for chemical risk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ervices that drove the firm’s growth in the early years was fueled by the public’s insistence that steps be taken effectively to manage exposure and health risks related to the products and by-products of industry and technology.


At the outset, the firm chose to pursue a course of planned, measured growth to meet the challenge of geographical expansion without diluting leadership or weakening the company’s ability to perform sophisticated multidisciplinary engagements. The first ten years saw expansion to six domestic offices on both coasts. Subsequent domestic expansion positioned ENVIRON strategically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fter establishing a solid foundation and longstanding reput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a sophisticated, forward-thinking consultancy that pioneered the application of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 a wide variety of issues facing business decision makers, the firm began a measured international expansion, beginning with the acquisition of a well-reputed UK consultancy (the former EAG) in 1996, and in the year 2000 the opening of ENVIRON offices in Italy, France, Germany, and Finland. Subsequent European expansion positioned the firm in the Netherlands, Poland, and Spain. The year 2001 saw the opening of the first Asia Pacific offices in Australia, China, Malaysia, and Singapore, further enhancing the firm’s ability to meet the worldwide needs of an increasingly transnational client base.


After an almost 10-year period in the 1990s as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publicly traded parent companies, ENVIRON reprivatized with a management buyout in 1999. The privatization of our firm, at a time when many of our competitors were consolidating and becoming part of larger publicly held corporations, enhanced ENVIRON’s ability to attract and retain the best and brightest practitioners that our industry has to offer–those seeking an environment that fosters collaboration, creativity, and sophisticated thinking. Our privatization has enhanced the entrepreneurial spirit that was at the heart of ENVIRON from the outset, returning control of the firm to those who provide client services and who hold the successful provision of these services as their highest objective.


The 2003 merger with Applied Epidemiology, Inc. (AEI), brought to ENVIRON a full range of epidemiological consulting services in occupational health, environmental health, and injury and disability research. The application of epidemiological concepts and methods provides powerful, data-fueled solutions to a wide array of health risk challenges.


In the spring of 2005, ENVIRON merged with The ADVENT Group, Inc., a premier consulting and engineering organization that specializes in Integrated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and related areas for predominately industrial clients. This merger created a firm uniquely qualified to provide a full range of engineering and technical services to help clients meet their business goals related to water management.


In August 2007, ENVIRON acquired Boelter Associates, Inc.—the largest single acquisition in the firm’s history. The addition of Boelter’s professionals positioned us to offer clients expanded consulting capabilitie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industrial hygiene and building forensics. The subsequent 2008 acquisition of Chicago-based Gustitus Group, Inc., brought to ENVIRON a well-established core practice in forensic architectural services and additional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certified practitioners. These two acquisitions positioned us to offer comprehensive building-related environmental, health, safety and energy-related services to our existing global network of property/real estate sector clients.


In the summer of 2009, ENVIRON acquired successful Brazilian consultancy ARQUIPÉLAGO Engenharia Ambiental Ltda. (Arquipélago). The acquisition extended ENVIRON’s geographic reach into Latin America, where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llenges represent opportunities for value-added consulting, and enhanced the firm’s technical capabilitie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carbon management—two key growth areas. The Latin American presence enhanced ENVIRON’s platform for conducting due diligence, site assessments and site remediation in the region, which is experiencing increased demand for these services.


The firm’s vision calls for the addition of strategically located offices and the pursuit of mergers or alliances that will position ENVIRON to keep pace with evolving client needs.


====================

삼성 백혈병 논란의 중심, ‘인바이런’은 어떤 회사?
[해설] 베일에 싸인 역학 조사

출처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10218102922&section=02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산업보건과 교수인 데이비드 마이클스는 2008년 <청부과학(원제: Doubt is their product)>(이마고 펴냄)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청부과학>은 ‘논리와 순수’라는 이미지의 과학이 감추고 있는 어두운 현실을 폭로한다. 산업 환경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는 관련 업계에 위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을 요구한다.


이른바 ‘청부 과학자’들은 규제를 늦추기 위한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기존 결과의 약점을 공격하고, 자료를 비틀어 대중들에게 의구심을 던져준다. 위험이 확인될 때까지 위험 요소를 격리하는게 아니라 불완전한 연구 때문에 불필요한 규제를 도입해서는 안 된다고 설득하며 시간을 버는 식이다.


항공기 제작 등에 사용되는 크롬 산업의 규제에 대한 미국에서의 논란은 ‘청부 과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상세히 보여준다. 크롬을 다루는 사업장에서 나오는 크롬먼지(6가크롬산 이온)는 인간의 코 격막을 닳아 없앨 뿐만 아니라 폐암을 유발하는 유독한 물질이다. 미국 산업안전보건부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크롬먼지에 노출된 노동자는 50만 명에 이른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미국의 크롬먼지 노출기준은 20세기 초 작성된 보고서를 기준으로 만들어 터무니없이 낮은 ‘세제곱미터당 52마이크로그램(52㎍/㎥)’이었다. 산업안전보건부는 1970년대 중반부터 높은 수준의 규제를 추구해왔지만 그때마다 번번이 업계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업계 변호사들은 컨설팅 회사를 고용해 기존 역학연구의 결과가 과장되었기 때문에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보완 조사가 필요하다는 ‘최신 연구결과’들을 만들었다. 과학적 결론을 반박하는 것보다는 의심을 만들어내 행동을 지연시키려는 전략이었다.


인바이런 역시 이러한 움직임에 가담했다. 2002년 업계에서 수행한 크롬 공장 역학조사 보고서는 본래 미국과 독일의 4개 사업장에서 산업안전보건부가 제안한 1㎍/㎥ 수준을 약간 웃도는 수준에서도 5배나 높은 폐암 사망 위험률이 나왔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담고 있었다.


하지만 업계와 인바이런은 이 공장 중 업계에 불리한 결과를 보인 사례를 제외한 채 보고서를 출간했다. 낮은 노출 수준과 중간 노출 수준의 노동자군을 조합해 사망 위험률을 낮춰 마치 높은 노출수준에서만 폐암 발병률이 높은 것처럼 보이게 했다. 결국 산업안전보건부는 애초보다 후퇴한 수준인 5㎍/㎥을 최종 규제안으로 내놓았다. 인바이런은 비슷한 시기 IBM 사업장의 작업성 암 발병에 대한 논란에도 개입해 업계 측을 옹호했다.

================

폴 하퍼 소장

Paul D. Harper

출처 : http://www.environcorp.com/people/bio.php?id=6883&location=PHOENIXAZ



Office:



Position: Principal
Phone: +1 602.734.7700
Fax: +1 602.734.7701
Email Paul D. Harper


Experience Highlights




  • Developed and implemented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at 30 heavy industrial facilities, resulting in a sustained reduction of injuries of over 70%, adding over $8 million in productivity to the company bottom line. Measures included Cardinal Safety Rules and Procedures, an Accident and Recovery Management Practice, employee participation and training, on-site auditing of work behaviors, and analysis and action plans to accidents as they occurred. Lost-time rates were reduced 85% and total recordable rates 70% to 25% of industry average rates. Concomitant reductions in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losses and premiums were achieved as well.
  • Provided testimony as a fact witness in support of formation of a remedial trust to resolve certain of the Client’s environmental cleanup liabilities in the context of Chapter 11 reorganization. The US EPA had proposed an allocation for cleanup scenarios approximately 5 times the costs projected by ENVIRON analysis of two sites. Client was successful in receiving federal bankruptcy court judgment allocating costs for Client’s proposed cleanup.
  • Served as 30(b)(6) deponent in civil litigation cases involving alleged violations of a facility’s NPDES wastewater discharge permit; the history and projected remediation of environmentally impacted sites for the purposes of funding a Trust to achieve cleanup of said sites; and concerning the nature, extent, remediation and settlement of environmental claims related to RCRA and CERCLA cleanup costs in an insurance recovery matter.
  • Developed deployment of behavior-based training, auditing, and coaching programs to promote safe employee work behaviors for a workforce of over 4000 employees as Corporate Director. Using Six Sigma processes identified shortcomings in the initial rollout and implemented additional measures to improve behaviors and response to audit data. The Six Sigma project resulted in a 50% improvement in accident rates in the first 6 months of project implementation.
  • Served as a general deponent in asbestos litigation matters concerning asbestos management practices at operating facilities; and in defense of a settlement with US EPA for contribution claims at the Tar Creek, Cherokee County and Oronogo-Duenweg (Jasper County) CERCLA sites.
  • Provided public testimony in support of issuance of a PSD permit for a facility in Oregon and issuance of a NPDES stormwater discharge permit in Missouri.
  • Extensive industrial experience in pulp and paper manufacturing and conversion, mining and minerals processing, lead-acid and specialty chemistry battery manufacture, plastics and rubber formulation and products manufacture, heavy equipment and automotive parts fabrication and assembly, bronze and aluminum foundry operations, specialty chemical and metal production, specialty 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printing.
  • CERCLA and RCRA project management, regulatory agency negotiation, state voluntary investigation/remediation programs, risk-based corrective action, private party allocation negotiations, and litigation support.

Education



MBA, Management, University of Cincinnati Lindner School of Business
BS Chemistry, Microbiology,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Certifications



Certified Hazardous Materials Manager, Masters Level
Fellow of the Institute of Hazardous Materials Management
Six Sigma White Belt
Six Sigma Champion

===============


과학자문단 명단

1. John Meeker, MS, ScD, CIH
Assistant Professor at University of MIchigan

출처 : http://www.linkedin.com/pub/john-meeker-ms-scd-cih/10/6a9/245


  • Sc.D., Exposure, Epidemiology & Risk, Harvard University, 2004
    M.S.,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Harvard University, 2001
    B.S., Industrial Technology, Iowa State University, 1999

  • •Faculty Page http://www.sph.umich.edu/iscr/faculty/profile.cfm?uniqname=meekerj
  • •Lab Group http://research.sph.umich.edu/group.cfm?deptID=2&groupID=18
  • •Consulting http://www.greenleafamericas.com/

    2. Robert F. Herrick, MS, ScD, CIH
    Senior Lecturer on Industrial Hygien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출처 : https://ccpe.sph.harvard.edu/popWindow.cfm?type=faculty&id=C6UJ9A005OTN


    Robert Herrick’s educational background includes a BA degree in chemistry from the College of Wooster, an MS in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a Doctor of Science in Industrial Hygiene from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He is certified in the comprehensive practice of industrial hygiene. His research interests are centered on the assessment of exposure as a caus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disease. He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measure the biologically active characteristics of reactive aerosols, and on studies of work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and foundry industries to develop task-based models to identify and control the primary sources of worker exposures.


    Dr. Herrick is Past Chair of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Hygienists (ACGIH), and Past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Occupational Hygiene Association. He is active in the Association’s mentor program which facilitates training for industrial hygienists in industrializing countries. Prior to joining the faculty at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Dr. Herrick spent 17 years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where he conducted occupational health research.


    Dr. Herrick has worked extensively on the problems of providing health and safety information and services to small business. While at NIOSH, he was coordinator of the small business initiative, which attempted to coordinate NIOSH’s activities including health hazard evaluations and control technology studies in small businesses. He was the founder, and past-chair of the ACGIH small business committee, of which he remains a member. He organized a Roundtable presented at the 1994 AIHCE, titled Industrial Hygiene and Small Business: Reaching the Underserved.
      
    3. Peter S. J. Lees, CIH, PhD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출처 : http://www.experts.scival.com/jhu/expert.asp?u_id=3166
    http://www.labome.org/expert/usa/johns/lees/peter-s-j-lees-478102.html


    Deputy Director
    Director, Pilot Project Research Training Program
    Peter S.J. Lees, PhD, CIH
    Program: Pilot Project Research Training Program
    Research: faculty page
    Email: plees@jhsph.edu
    Phone: 410-955-3009
    Room E6624
    (출처 : http://www.jhsph.edu/erc)

    4. Paolo Boffetta, MD, MPH
    Professor at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in New York, NY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Paolo_Boffetta
    http://www.mssm.edu/profiles/paolo-null-boffetta


    MD, University of Turin


  • Internship, University Hospital Turin
  • MPH, Columbia University

    5. Jonathan Borak, MD, DABT


    출처 : http://www.jborak.com/personnel/borak.php
    www.ijoeh.com/documents/conflicts_of_interest_and…/0082.pdf

    Dr. Jonathan Borak is Clinical Professor of Epidemiology & Public Health and Clinical Professor of Medicine at Yale University. He is also Adjunct Associate Professor of Occupational Medicine at Johns Hopkins University. He received his BA with Honors from Amherst College and earned his MD at New York University. He completed a residency in internal medicine at Montreal’s Royal Victoria Hospital, was a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Clinical Scholar at McGill University, and a Postdoctoral Fellow in Internal Medicine at Yale University. He is board certified in Internal Medicine, Occupational Medicine, and Toxicology and is a Fellow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the American Colle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Canada, and the Academy of Toxicological Sciences.


    Dr. Borak is currently Chair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of the American Colle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COEM) and a former member of the ACOEM Board of Directors. He was a founding member of US EPA’s National Advisory Committee to Develop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s for Hazardous Substances from 1996-2006 and served on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on Toxicologic Assessment of Low-Level Exposures to Chemical Warfare Agents. Among his various professional activities, he served on the National Faculty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s Councilor of the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on National committees of the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as President of th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ssociation of Connecticut and the Connecticut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and as Chairman of the Connecticut State Medical Society Committees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on Preventive Medicine.


    Dr. Borak is a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s of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and Occupational Medicine. He served as Associate Editor of OEM Report and as a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 of the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He is an editorial board reviewer for numerous journals including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Toxicological Sciences, Critical Reviews in Toxicology,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Journal of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nd other peer-reviewed publications. He was Associate Editor of A Practical Approach to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3rd Ed) (Lippincott, 2003), editor of the Core Curriculum in Environmental Medicine (ACOEM, 1994), principal author of Medical Management Guidelines for Acute Chemical Exposures (ATSDR, 1994), senior author of a textbook on toxic emergencies (Hazardous Materials Exposure: Emergency Response and Patient Care, Prentice-Hall, 1991) and is an on-going Peer Reviewer for ATSDR’s Case Studies in Environmental Medicine and Medical Management Guidelines for Acute Chemical Exposures.


    ===============


    “반도체와 백혈병 상관없다”던 인바이런사의 비밀


    [첨단산업과 노동자 건강·上] 베트남 참전 미군에게 “고엽제는 건강과 무관”


    기사입력 2011-07-25 오전 8:04:54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10722153951


     


    지난 14일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라인 근무환경 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제3기관인 ‘인바이런’이라는 안전보건컨설팅 회사에 연구 용역을 줬다. ‘삼성 백혈병’ 사건을 두고 삼성전자 측이 벌인 ‘자체 조사 결과’의 객관성에 대해 논란이 일자 내놓은 대책이다. 발표에 앞서 김준식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 결과로서 (제3기관에 맡긴 만큼) 이번 조사는 객관성과 투명성이 보장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안전보건 문제가 불거졌을 때 기업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바이런의 조사 결과에 신뢰를 보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인바이런은 “필립모리스 담배회사와 폐암환자의 소송에서 담배회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해왔으며, 미국에서 베트남전쟁 참전 군인들의 고엽제 문제가 불거졌을 때는 “전쟁참여 군인들의 건강문제는 고엽제와 무관하다”고 주장한 예가 있다는 것이다. 해당 회사가 과거 노출을 재구성한 방식도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프레시안>은 이러한 견해를 담은 윤충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 기고를 앞으로 2회에 걸쳐 나눠 싣는다. <편집자>


     



    ▲ 삼성전자 반도체 기흥 사업장에서 ‘반도체 생산라인 근무환경 재조사’를 발표하는 미국의 안전보건컨설팅 회사 인바이런 직원들. ⓒ삼성전자


     


    최근에 삼성전자의 주도하에 미국 환경컨설팅 회사인 인바이런(Environ)이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결과라기보다는 삼성이 마련한 자리에 인바이런이 1년간의 조사를 마치고, 자료 없이 주장에 가까운 것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번 발표내용은 조사 결과가 아니다. 조사 결과(과학적 데이터)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 의견(주장)이다. 이 주장이 과학적 결과에 의한 합리적인 결론인지는 전혀 판단할 수 없다. 마치 블랙박스는 전혀 보여주지 않고, “우리가 고용한 전문가가 블랙박스를 열어보니 유해성의 증거가 아무것도 없다”며 믿으라는 식이다. 2~3일 동안 자꾸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보도내용이 급기야 나를 급격한 어지러움을 몰아넣더니 혼돈의 미로 속에 방황케 한다. 이 어지러움 속에서 하얀 작업복을 입은 노동자들과 클린룸의 이미지, 그리고 이전에 몇 번인가 신문에서 보았던 머리를 모두 깎은 채 슬픈 미소를 짓고 있었던 젊은 눈망울이 자꾸 클로즈업된다. 이런 글을 쓰지 않기로 과거에 결심했던 나를 뒤집는다.


     


    “석면이 발암물질로 알려지기까지 수십 년, 반도체 산업은?”


     


    새로운 기술, 산업, 또는 화학 물질이 인류사회에 들어오게 되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역사적으로 보면 말라리아모기를 없애기 위한 DDT, 농업생산성을 급격히 증가시킨 농약, 삶을 풍요롭게 하는 과불화합물 냉매 등의 도입은 말할 수 없는 혜택을 인류에게 주었지만 사용 후 수년~수십 년이 지난 후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다. 생태계 교란,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 영향, 오존층의 파괴 등이 잘 알려진 피해이다.


     


    이런 역사적 경험은 금방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겠지만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나타나는 것도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하였다. 예를 들어 발암물질로 알려진 석면은 잠복기가 짧게는 15년, 길게는 30~40년 걸린다. 여기에 석면과 암의 상관관계가 학문적으로 규명되려면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특히 건강상 영향과 관련될 때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 더 흔한 일이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물질이나 산업이 인류사회에 들어오게 될 때 기대효과뿐 아니라 부작용도 늘 짚어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익과 위험을 반드시 저울질해보아야 한다. 그나마 이것을 잘하는 기관이 미국의 식품의약청이다. 식품의약청은 의약품이나 식품의 안전성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다각도로 평가한다. 그러나 이런 물질은 섭취를 통해서 인체에 들어오게 된다. 가장 위험한 노출경로인 호흡기를 통행 들어올 수 있는 수많은 화학물질은 이런 검증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는다.


     


    그럼 반도체 산업은 어떨까? 반도체 산업은 인류역사의 경험에서 볼 때 매우 새로운 산업이다. 1920년대에 연구가 되기 시작하였고, 50년대에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그리고 80년대 이후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크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반도체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역사가 짧고 정보가 매우 제한적으로 알려졌고, 고도의 기술이 적용되는 산업이다. 그러다 보니 사용되는 화학물질, 클린룸에서의 장시간 작업 등으로 인한 건강영향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즉 작업자의 건강과 관련된 많은 유해인자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또한 관련연구도 매우 제한적이다. 1980년대 이후 미국, 영국, 대만 등 반도체 산업을 주도한 국가에서 직업병 사례가 최근에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소송이 걸리면서 몇 건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보의 제한성, 회사가 지원하는 형태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아직도 미스터리영역에 속한 산업이다.


     



    ⓒ뉴시스(자료사진)


     


    반도체 산업이 타 산업보다 산업보건 측면에서 위험성이 잘 안 알려졌으면서 또 하나 주목해야 할 것이 산업의 역동성이다. 반도체 산업은 특성 중 하나는 끊임없는 새 기술의 도입인데 이는 매 18~24개월마다 새로운 물질, 새로운 장비, 새로운 공정이 도입된다는 무어의 법칙과 이를 넘어선 황의 법칙이라는 말로 잘 표현된다. 그러나 이렇게 빠르게 변하는 산업에서 건강영향이 생기기까지 수십 년이 걸리는 유해인자, 질병을 찾아내고, 개선하기는 매우 어렵다. 더구나 반도체 산업 자체가 새 기술 보호장벽으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하고 있어 연구 자체가 불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더불어 급격한 새 기술의 도입은 보건 또는 역학자가 유해요인 평가, 또는 유해요인 건강영향을 증거에 근거해 (proof based) 연구하는 것을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선진국에서 수행된 어떤 연구도 과거 노출에 대해서 자신 있게 말하고 있는 연구가 없고, 과거노출의 대부분을 불확실성의 범주에서 조심스레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즉, 지금까지 발표된 모든 반도체 관련 유해인자 평가나 역학 연구에서 과거 노출의 부정확성을 연구의 한계로 기술하고 있다. 이번 인바이런의 발표를 제외하면 100% 그렇다.


     


    “공장에 쓰이는 화학물질 2만7000개 중 독성 알려진 것 1%”


     


    필자는 산업위생 분야에 수십 년 동안 조사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도대체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 중에 어떤 물질은 인체에 유해하고 또 어떤 물질은 유해하지 않은 것일까? 도대체 어떤 물질의 어떤 특성이 이런 유해성을 결정지을까?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2만7000여 종의 화학물질 중에서 인체독성을 잘 이해하는 것은 1%도 되지 않는다. 대부분은 미지의 영역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물질에 대해 어떻게 추론할 수 있는가?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우리 생명체는 단순한 분자에서, 거대분자로,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점차 고등동물로 진화하여 현재 인류까지 오게 되었다. 이런 진화과정에서 여러 요인이 작용하지만, 만일 생명체에 들어오는 물질이 생명체에 위험을 주었다면 그 생명체는 멸종되었을 것이다. 이런 측면을 인류에게 적용해보면 사람의 유전자 입장에서 보면 인류 초기 또는 그 이전부터 존재하여 유전자와 친숙했던 물질은 대부분 우리가 적응해왔기 때문에 유해성이 덜할 것이고, 그렇지 못한 물질은 유해의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공기, 나무, 흙, 친숙한 먹을거리 등은 유해성이 없거나 매우 약하다. 만일 공기 중 존재하는 산소가 인체에 유해했다면 우리 인류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 유해성에 견딜 수 있는 종이 생존하게 되었을 것이다. 공기 중 78%를 차지하는 질소도 인체에 유해성은 없다. 왜냐하면 우리 조상은 이미 오래전부터 질소가스에 친숙해졌기 때문이다.


     


    거꾸로 생각하면 유전자가 친숙하지 못한 물질이 인체로 들어오면 우리 몸은 당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사회 속에 새로 들어오는 화학물질, 합성물질은 모두 건강 측면에서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에 커다란 에너지를 가하여 고도로 순수하게 만들어 사용하거나 새로운 합성물질이 인체에 들어오면 우리 인체는 낯설어하게 되고 이런 것이 건강상 영향을 주게 된다. 물론 과거로부터 존재해도 유해한 성분이 있다. 예를 들면 진폐증의 원인이 되는 실리카나 석면이 그러한 예다. 그러나 이런 물질도 인간이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꺼내서 가공하여 인위적 노출을 일으키게 하였기 때문에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도체 산업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인류역사에서 새로이 시작된 산업이고, 대부분 물질도 새로이 도입된 물질이고 유독한 것이 많다. 일반인은 처음 들어본 화학물질의 이름도 수도 없이 많다. 이런 데서 일하는 노동자가 아무 위험성도 없다는 것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인바이런, 폐암 환자 소송서 담배회사 대변


     


    삼성전자가 선정한 인바이런은 객관적인 조사를 할 수 있을까?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몇 가지 측면에서 다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인바이런이 보도된 대로 세계 최고의 컨설팅 회사일까? 기사를 보면 인바이런은 세계 최고 권위의 컨설팅 회사라고 한다. 사설기관인 인바이런의 Homepage를 보면 인바이런은 82년에 설립되어 급속도로 팽창하여 전 세계 18개국에 있고, 미국에만도 42개 지역에 지부가 있다. 즉, 급속히 팽창해온 환경컨설팅회사이다. 컨설팅 회사가 급속도로 팽창하려면 고객으로부터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환경문제는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시민과 자본(기업)의 대립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자본의 논리가 우세한 구미에서 급속도의 팽창하기 위해, 즉, 많은 이윤창출을 하기 위해서, 인바이런이 어떤 입장에서 환경컨설팅을 했는지 상당히 의심이 간다. 최고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Homepage를 보고 느낀 것 중 하나는 경영실적 측면, 즉, 이윤추구 측면에서 최고의 위치임이 분명하게 보이나 객관적 조사, 엄밀한 조사에 대해 최고라는 증거를 찾아볼 수는 없었다.


     


    오히려 인바이런의 성장배경을 유추해볼 수 있는 책이 있다. 자본과 과학의 뒷거래를 파헤친 <청부과학>(원제, )을 보면 인바이런이라는 회사가 어떻게 자본의 이익에 부합하는 조사를 하는지 유추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바이런은 미국에서 수 건의 담배건강영향 관련 소송에서 담배회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해왔고, 최근인 2009년에도 필립모리스 담배회사와 폐암환자의 소송에서 담배회사를 대변하는 역할을 했다(☞자료 바로 가기).


     


    “베트남전 참전 미군에 ‘고엽제는 건강과 무관’”


     










    <청부과학>은 담배회사 등 유해물질 제조산업이 승승장구하는 이유로 자본과 결탁한 청부과학자들이 업계를 돕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에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크롬과 폐암의 상관관계에 대해 자료 처리방법을 조작해 그렇지 않다고 보고한 ‘인바이런’사의 예가 나온다. ⓒ이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슈가 되었던 고엽제 관련하여 미국에서 베트남전쟁 참전 군인들의 건강 문제와 고엽제 문제가 불거졌을 때 인바이런은 “전쟁참여 군인들의 건강문제는 고엽제와 무관하며, 정치적인 목적 때문에 그리 위험하지 않은 고엽제의 건강 영향이 너무 과장되어 있다”고 주장한 예도 있다.


     


    미국 PVC 제조회사에서 사용되는 단량체인 염화비닐과 뇌암과의 연관성 연구에서 수십 명의 뇌암 발생자를 누락시켜 연구결과를 왜곡한 사례도 있다.


     


    미국에서 발암성 물질인 크롬의 작업장 기준을 낮추려고 했을 때 인바이런은 업계의 주장을 뒷받침해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논문을 발간했다. 크롬이 낮은 수준에서도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데, 자료 처리방법을 조작해 그렇지 않다고 보고 했던 것이다. (<청부과학> 171쪽)






    이런 측면에서 삼성은 업계의 주장을 잘 대변한다는 측면에서 최고를 선택하지는 않았을까? 이에 삼성에 대해 투자를 하고 있는 자산운용사인 APG가 지난해 말 삼성의 이번 조사가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이미 지적한 바 있다(APG 뉴스레터 2010년 12월호).


     


    물론 이런 사례들이 있다고 해서 이로 인바이런을 매도하고 무조건 삼성 편을 들었다고 100% 확신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필자는 인바이런이 삼성이 주장하는 것처럼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최고기관이라고 평가한 점은 수긍할 수 없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어떤 입장을 택했는지 명확히 판단할 수도 없다. 단지 결과 없이 발표한 점에 비추어 궁금점이 증폭될 뿐이다.


     


    “삼성전자가 선정한 기관에서 이뤄진 조사는 객관적인가?”


     


    둘째, 삼성전자에서 조사비용을 대고 조사기관을 자체적으로 선정한 경우 조사가 완전히 객관적일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정부나 기관, 또는 회사에서 어떤 연구나 조사를 하게 되는 경우 사실에 근거한 객관적인 조사는 필수적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의뢰기간에서도 건전한 조직체 또는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 객관적인 조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2009년 포토공정에서의 벤젠 검출로 인한 이슈의 사회화, 수십 명에 달하는 암 환자 발생, 암환자의 소송을 앞둔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착수된 조사가 객관성을 담보하기가 쉬웠을까? 의뢰기관이 이미 어떤 의도를 하고 있다면 객관성에 의문이 가기 시작한다.


     


    보도된 자료에 의하면 조사 내용 중 하나가 생산라인에서 유해물질 노출 여부와 발병자와의 업무 관련성 등을 점검했다고 했다. 이 조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백혈병 등 직업병이 삼성전자에서 나오기 시작했고, 산재신청, 불승인 최소 요청, 또 최근 법원의 산재인정 등의 판결이 나온 상황에서 인바이런은 삼성의 영향력권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을까? 나는 과학자로서 삼성이 직접적 영향력은 행사하지 않았을 거라고 믿고 싶다. 그러나 간접적 영향력, 예를 들어 과거 자료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제공, 웨이퍼 크기변화에 따른 기술 및 공정변화에 따른 화학물질의 변화에 대한 충분한 증거제공, 피해자에 대한 접근권 제한 등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굳이 삼성이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더라도 인바이런이 만일 업무연관성을 보려 했다면 당연히 이 소송의 당사자인 피해자의 증언 및 주장을 경청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


     


    삼성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과거 작업환경 측정자료는 얼마나 정확할까?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힘들다. 단지 몇 가지 측면에서 추론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우리나라 작업환경측정제도와 현재 삼성전자의 작업환경 측정에 대한 구조적인 측면에서 들여다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구조가 객관성에 영향을 주었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 단지 왜곡의 가능성을 엿보려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업장 노출평가는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에 의해서 수행되는데 과거로부터 지속적인 논란이 되는 것 중 하나가 고용주가 측정비용을 내기 때문에 측정제도에서 나오는 자료가 객관적인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이는 삼성전자뿐 아니라 전체 우리나라의 이슈 중 하나임). 측정기관에서 어떤 화학물질에 대해 짙은 농도를 보고하면 의뢰기관인 회사에서는 다음 측정 때엔 손쉽게 측정기관을 바꿀 수 있다.


     


    삼성전자는 매년 작업환경 측정을 한곳의 작업환경 측정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여 오고 있다. 이 측정기관의 설립자는 삼성전자에서 환경안전팀장으로 오랫동안 근무하였던 사람이다. 이 회사의 homepage에는 작업환경측정의 주된 고객이 모두 삼성관계사로 삼성전자(기흥사업장, 수원사업장, 온양사업장, 천안사업장), 삼성전기㈜(수원사업장, 조치원사업장, 부산 사업장), 삼성코닝정밀유리㈜(수원사업장, 구미사업장), 삼성종합기술원, 삼성의료재단(서울병원, 강북병원, 제일병원) 삼성중공업㈜-거제조선소, 제일모직(주)-의왕, 삼성전자서비스, 삼성탈래스(구미)로 되어 있다. 모두 삼성관계사이다. 긍정적으로는 삼성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 수 있으니 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반대의 생각도 가능하다.


     


    “고농도·부산물 노출 평가 안 했다”


     


    둘째, 작업환경측정기관에서는 모든 유해인자를 다 측정할까?


     


    이는 확실히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2만7000여 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작업장 허용기준을 가진 화학물질은 699가지뿐이고 이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작업환경 측정대상 화학물질은 188종에 불과하다. 즉 수많은 화학물질은 실제로 사업장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다.


     


    실제로 반도체 산업에서는 5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중에 몇 가지나 측정될까? 유해성이 없어서 측정을 안 할 수도 있지만, 법적 규제가 안 되어서 안하는 경우도 많다. 법적 규제가 안 된다고 유해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제품에 난연제가 들어가는데 이중 어떤 것은 EU에서 사용금지물질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환경 측정은 전혀 하지 않는다. 노동부의 관리대상 물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정비작업 등 일시적 고농도 노출가능성에 대한 평소의 관리가 잘 안 된다. 반도체의 현대 장비는 대부분 밀폐되어 있어 평소에 노출 가능성은 작지만, 고장, 또는 유지보수 시 이를 해체하면 고농도 노출이 가능하다. 현재의 작업환경측정제도는 이런 고농도 노출에 대한 평가를 잘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고농도 노출에 대한 회사의 관리가 철저했는지 검증해보아야 한다.


     


    더불어 반응 부산물에 대한 노출평가가 안 이루어지고 있다. 반도체 장비 중 여러 장비는 자외선, 플라스마 이온, 레이저, 900-1200℃의 고온 등 고에너지를 이용하여 물리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공정이 매우 많다. 이때 원료 물질이 이런 고에너지 물질을 만나면 다양한 형태로 분해되어 유해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공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열분해 되면 충분히 벤젠이 나올 가능성, 이온 임플란타에서 아르신가스가 분해되어 발암성 물질인 비소가 나오는 사실, 레이저 마킹 공정에서 레이저 빔으로 에폭시가 분해되어 발암성 물질인 산화에틸렌이 나올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얼마나 많은 종의 부산물이 얼마 정도의 농도로 생성될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고 극히 일부의 예만 최근에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에서 흔히 사용하는 dichlorosilane(증기화학 증착이란 공정에 사용됨)이란 물질이 플라스마이온에 의해 분해되면 이 한 가지 물질이 35가지의 다른 화학종이 형성된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작업환경 측정제도는 이런 것에 대해 평가하지 않는다. 이번 인바이런 조사에서도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런 조사 결과가 없이 어떻게 연관성이 없다고 100% 확신할 수 있는지 놀랍다. 모든 작업환경측정에서 100%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신의 영역에 속할 때뿐이다.


     


     


    ‘이너서클의 위험’에 빠진 삼성, 그게 파열되면…


    [첨단산업과 노동자 건강·下] “현재 노출특성으로 과거 추정 불가능”


    기사입력 2011-07-27 오전 8:12:03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10722165505&Section=02


    지난 14일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라인 근무환경 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제3기관인 ‘인바이런’이라는 안전보건컨설팅 회사에 연구 용역을 줬다. ‘삼성 백혈병’ 사건을 두고 삼성전자 측이 벌인 ‘자체 조사 결과’의 객관성에 대해 논란이 일자 내놓은 대책이다. 발표에 앞서 김준식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 결과로서 (제3기관에 맡긴 만큼) 이번 조사는 객관성과 투명성이 보장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안전보건 문제가 불거졌을 때 기업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바이런의 조사 결과에 신뢰를 보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인바이런은 “필립모리스 담배회사와 폐암환자의 소송에서 담배회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해왔으며, 미국에서 베트남전쟁 참전 군인들의 고엽제 문제가 불거졌을 때는 “전쟁참여 군인들의 건강 문제는 고엽제와 무관하다”고 주장한 예가 있다는 것이다. 해당 회사가 과거 노출을 재구성한 방식도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프레시안>은 이러한 견해를 담은 윤충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 기고를 2회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


     



    삼성전자 반도체 기흥 사업장에서 ‘반도체 생산라인 근무환경 재조사’를 발표하는 미국의 안전보건컨설팅 회사 인바이런 직원들. ⓒ삼성전자


     


    “미국산업위생학회의 방법 따랐다면 결과 조작 가능”


     


    언론에는 인바이런이 미국산업위생학회의 방법을 통해 정성평가와 정량평가에 이은 종합평가를 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아마도 위 학회에서 발간한 에 기초했고, 여기서 소개한 베이시안 통계 모델의 평가방법과 이를 소프트웨어로 만든 ‘IHDA’를 이용했을 것 같다(필자의 추정임). 이 방법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prior)에서 전문가의 추정(정성적 방법)과 2단계(likelihood)에서 측정자료 사용(정량적 방법), 3단계(Posterior)에서 종합평가다. 그런데 위 소프트웨어는 측정자료가 빈약한 경우 전문가의 판단이 매우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이용자가 불확정성과 작업조건에 대한 입력변수를 어떻게 넣느냐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다르게 나온다. 즉, 결과의 조작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오해를 줄이기 위해 인바이런과 삼성은 자료를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더구나 위의 평가도구는 과거 노출력을 판단하기보다는 작업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 그 부족한 정보를 갖고 미래에 작업장을 관리하고자 할 때 어떻게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만들어진 모델이지, 과거의 노출력을 추정하거나 평가하는 도구가 절대 아니다.


     


    “현재 노출특성으로 과거 추정 불가능”


     


    언론에 보도된 것은 매우 제한된 정보이다. 따라서 이 정보를 근거로 어떤 결론을 내리기가 매우 어렵다. 단지 필자가 보도된 언론정보를 접하고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첫째, 인바이런은 자료의 제시 없이 결론부분에 상당하는 주장을 제기하고 이를 믿으라 했고, 이에 대한 지적은 이미 많이 되었다. 과학계에서는 학자는 데이터로 말한다’라는 말이 있다. 과학적 이슈가 첨예한 사회문제가 되었음을 인바이런이 숙지 못했을 리 없는데 아무 증거자료 없이 주장만 한 것은 다소 어리둥절하다.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라고 했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여 발표는 요약해 하더라도 유인물배포는 가능했을 터였다.


     


    둘째, 인바이런이 과거 노출을 재구성했다는 점에 대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산업은 1980년대에 본격화하면서 점차 발전해오는데 발전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지만, 웨이퍼의 크기에 따라 정의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산업은 과거의 4인치 웨이퍼에서 6인치, 8인치로 발전했고, 현재는 12인치 웨이퍼를 생산하고 있는데 웨이퍼의 크기가 커지면서 장비, 작업방식, 화학물질 등이 급격히 변한다. 이런 변화는 과거의 노출특성이 현재의 노출특성과 매우 다름을 의미한다.


     


    화학물질 같은 경우는 웨이퍼의 크기뿐만이 아니라 국내, 국제적인 화학물질 규제에 영향을 많이 받아 변한다. 예를 들어 TCE같은 경우도 1996년 이후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반도체 산업에서 포름알데히드, 납, PBDE라는 난연제 성분도 EU에서 규제하면서 사용하지 않거나 극도로 제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생식독성 물질인 에틸렌글리콜에테르도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전 세계 반도체 산업에서 모두 사용되었고, 생식독성이 문제가 되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거꾸로 이야기하면 환경규제가 엄격하지 않았던 2000년대 이전에는 현재와 다른 유해물질을 많이 사용했다는 의미이다. 장비도 과거의 수동이나 반자동에서 현재는 거의 밀폐된 자동장비가 많다.


     


    그렇다면 현재의 단면적인 연구로 과거의 노출을 모두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까? 단순한 추정일 뿐이다. 즉 현재의 노출특성으로 과거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 구할 수 있는 아무리 많은 정보가 있어도, 아무리 좋은 모델 또는 가상 시나라오를 해도 과거 노출을 재구성하는데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하는 것이 정상이다. 인바이런이 어떻게 과거 노출에 대해 그렇게 자신할 수 있을까? 놀라울 따름이다.


     


    “불순물 혼합된 신너에 벤젠 포함된 경우 많아”


     


    셋째, 과거의 화학물질 사용 이력을 다 알 수 있는가? 우리나라 물질안전보건자료의 비치제도는 1996년에 시작되는데 그 이전에는 화학물질 구성성분에 대한 법적 관리가 안 이루어졌다. 또 그 이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잘 관리가 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포토공정의 감광제에는 크게 세 가지 성분이 들어가는데 감광제를 액체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기용제류, 빛에 민감한 감응제, 자외선을 받으면 경화되는 에폭시류의 경화성분이 들어간다. 이중 유기용제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는데 이 유기용제가 과거에 얼마나 잘 관리되었는지 의문이다.


     


    대부분 유기용제는 원유를 증류하여 만들고, 이 과정에서 100% 순수한 한 가지 케미컬을 만들려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단순히 용매로서의 특징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불순물이 혼합될 수 있다. 흔히 신너라고 하는 물질이 대표적인 유기용제인데 과거 경험에 의하면 신너 중 벤젠의 성분표시가 없었지만 벤젠이 포함된 경우가 많았다. 흔히 반도체 산업은 매우 순도가 높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현재는 그러할지 몰라도 휘발성 성질을 갖는 용제성분은 공업용으로도 충분히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과학은 객관적인가? 또한 필자는 객관적인가?”


     


    흔히들 과학은 객관적이라고 말하고 또 그렇게 믿고 싶어 한다. 그러나 과학이 자본과 결합할 때 종종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은 과학계에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부 정책과 영합하거나 자본과 영합하는 과학은 객관적이지 않음은 잘 알려져 있다. 21세기 들어와 정부나 기업은 정책을 합리화하거나 영업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과학의 힘에 의존할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는 과학의 방법, 결과를 왜곡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적어도 과학은 객관성을 지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 방법론, 결과 등에 대해 3자가 내용을 알고, 질문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자료는 공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자료에 근거한 논리적인 주장을 하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은 과학의 차원이 아니라 판단의 차원이다. 따라서 과학적인 자료는 객관성을 담보하여야 하지만 의사결정은 주관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 그 주관성도 객관성을 담보하고 있는 결과에 논리적 연결고리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 글을 쓰는 나 자신도 과학자로서 연구할 때는 객관적이지만 (객관적으로 타당한 자료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결과를 도출하려 함) 이 글을 쓰는 입장에서는 객관적이지 않음(보도내용을 보고 느낀 점이 그전의 사전지식과 어울려 판단하여 글을 씀)을 부인할 수 없다. ‘나’라는 주체는 과거로부터 나의 육체, 정신, 영혼에 여러 가지 능동적, 수동적 input을 통해 형성(output)되었고, 또 형성되어 나가기 때문이다. 어느 학자의 말처럼 가장 주관적인 것이 가장 객관적이 될 수도 있다는 말에 위안을 삼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글은 언론에 보도된 인바이런의 주장을 보고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본 글이다.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한 시각이 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보다 더 진실에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삼성이나 인바이런이 현재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도 그들의 주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주관적인 것에 늘 다른 다양한 의견과 소통하려는 자세가 있어야 그나마 객관성이 담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나라 반도체·전자업체에서도 희귀병 환자 속출”


     


    삶을 살기 위해 직업을 가졌던 사람들이 그 직업으로 인해 삶을 살 수 없는 현실에서 과학이 어떤 역할을 하여야 하는 시각과,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에 머물지 않고, 이미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발전하여 우리나라의 근간 산업이 되어가는 삼성이 정말 멋진 삼성이 되려면 앞으로 어떻게 산업보건문제를 바라다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시각에서 산업보건문제를 조망하여 보았다.


     


    반도체 산업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지속이 되고 있다. 주된 이야기는 늘 이런 식으로 전개되었다. 먼저 반도체 종사자 중 일부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질병인 암, 희귀 질병이 발생하여 소송하게 된다. 힘겨운 싸움의 시작이다. 그러면 회사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대규모 역학조사를 하여 결정적 증거가 없다고 하거나 인과성을 부인하게 된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정부가 나서서 역학조사를 하기도 하였는데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나라의 반도체 또는 전자업체에서 지속적으로 암환자, 희귀질병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아직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가 많은데, 불확실성이 확실성보다 많은데도 책임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정말 무책임하다.


     


    평범한 시민으로서 우리가 갖는 반도체 산업의 이미지는 매우 깨끗하다. 발끝부터 머리끝까지 보호복을 입고, 클린룸에서 일하는, 그리고 대부분 자동화된 기계가 일하는 작업환경을 떠올리면서 말이다. 그러나 보호복은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클린룸은 단지 먼지에 대해 클린하다는 의미이고, 자동화는 최신의 정상적 생산라인의 일부분 공정이지, 정비작업, 노출사고 등을 대변하지 못한다. 즉, 반도체 산업은 결코 클린룸이 주는 이미지처럼 깨끗한 작업조건에서 일하는 산업이 아니다.


     


    이미 외국의 반도체 산업에서, 피부질환, 안질환, 생식독성 등은 잘 알려진 질병이고 이에 대한 유해인자도 명확히 규명되었는 데 비해 국내에서는 전혀 연구되고 있지 않다. 이런 직업병 인정사례도 없다. 이유는 두 가지다. 정말 깨끗하던지, 아니면 우리가 무관심했거나 몰라도 정말 모르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된 내용에서도 사회적 이슈가 된 발암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모두인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관리되어서는 안 된다.


     


    “병 걸리고 항암치료 잘 받으면 뭐하나…예방이 우선”


     


    필자는 회사가 대책으로 내놓은 임직원에 대한 토탈케어 시스템을 보고 놀랐다. 그 완결성에 놀란 것이 아니라 그 홍보성, 근시안성에 놀랐다. 토탈케어시스템은 근본적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해주지 못한다. 토탈케어시스템은 이미 알고 있거나 또는 현재 지식의 한계로 알지 못하는 있는 신종 산업인 반도체 작업장의 수많은 유해요인을 제거하거나 완화해주는 대신 건강의 엔드포인트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이다. 수만 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작업환경의 유해인자에 대한 평가 및 관리를 하지 않고는 큰 소용이 없다. 유해인자에 노출된 후 수년~수십 년 후에 암에 걸린 환자가 아무리 보상을 잘 받아도 항암치료를 잘 받는 게 노동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직업으로 인한 각종 질병에 안 걸리게 해야 한다. 그 이유를 작업환경에서 찾아야 한다. 최종적으로 망가진 신체에 대해 무엇인가를 해주기 전에 망가트릴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에 대한 근원적인 대책이 더 필요하다.


     


    인류가 반도체를 산업으로 갖게 된 것은 전 인류역사에서 매우 짧다. 우리 유전자는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물질에 대해 당황할 것이 뻔하다. 새로운 산업이 인류사회로 들어올 때 우리는 새로운 산업의 긍정적인 측면 못지않게 부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찾아보고 조처를 해야 한다. 반도체 산업은 제품의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쏟는 것만큼이나 작업장의 여러 요인이 어떻게 건강에 영향을 미칠지 연구해야 한다.


     


    일련의 삼성전자의 이슈를 보면서 느끼는 점 중 하나는 삼성이 너무 이너 서클(inner circle)의 위험성에 빠져 있지 않나 하는 점이다. 외부와 단절되어 내부에서 하는 일을 내부에서 평가하고, 드러내는 것을 일부러 하지 않고, 서클을 이루는 원 둘레를 강하게 하면, 단기적으로는 외부로 들어나지 않아 유지하겠지만 언젠가 스스로 서클 내부로부터 또는 외부로부터 약점(weak line)이 형성되고, 그것이 파열되면 걷잡을 수가 없게 된다. 우리 국민의 대다수는 삼성이 그렇게 되지를 원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과거에는 선진국을 모방하여 여기까지 왔다고 한다. 앞으로는 선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한다. 왜냐하면 이제는 우리가 따라갈 모델이 없고 우리가 새로운 모델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가 최고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신 산업에, 최고의 직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잘 보호해야 그간 외쳐온 환경경영, 투명경영, 지속가능경영, 윤리경영의 소리가 헛된 메아리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21세기 복지사회에서 진정한 인간중심 경영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윤충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