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책학회] <대답하지 못한 질문> List(2011.9.21) ver.1 | |
no | 질문 |
1 | 한국에서 부산, 경남의 성, 연령보정사망률이 가장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
2 | 영국의 직업계층별 건강수준의 차이를 보여준 블랙보고서는 영국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에서 소득, 지역간 건강불평등의 차이에 대해 국민들, 학자들, 언론들은 왜 이를 충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을까? |
3 | 한국은 담배, 술과 같은 위험요인은 세계에게 가장 높은 군에 속하지만 심혈관계질환 관련 모든 수치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군에 속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
4 | 한국사회 의료보장의 성립과정에서 노동자세력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
5 | 한국사회에서 대부분의 국민들은 의료서비스를 상품으로 당연히 인식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
6 | 최근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는 ‘무상의료‘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이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
7 | 의료보험료의 상한선을 두는 것은 정당한가? |
8 | 한국의 주요 건강정책(의료보험, 제약산업정책 등)에서 강대국와 다국적 제약회사, 세계기구 등의 영향력은 얼마나 되며 어떤 방식을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가? |
9 | 통일후 한반도에 구축되어야 할 바람직한 보건의료체계의 성격은 무엇인가? 제3의 모형은 가능한가? |
10 | 보건복지부가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의료산업의 영리성을 추구하여 발생하는 기조의 충돌은 해결 가능한가? |
11 | 친정부 시민단체나 인사로 구성되고 있는 현재의 각종 심의위원회를 국민을 대변하는 독립적 위원회가 되도록 하는 제도적 방안은 무엇인가? |
12 | 한국에서 1, 2, 3차 의료서비스를 포괄하는 단위 진료권역의 규모는 얼마인가? |
13 | 각종 의료전문직 중앙회(의사협회, 약사협회 등)이 회원의 이익에 반하는 정책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
14 | 복수노조를 허용하면서 의료전문직 중앙회(의사협회 등)을 1개로 제한하는 것은 정당한가? |
15 | 의료서비스 산업이 국가성장동력이라는 주장은 공개적, 민주적 토론을 거쳐 충분히 검증된 것인가? |
16 | 한국에서 특별히 국민건강의 보호증진을 위해 여러 부문이 협력하는 ‘건강공공정책(healthy public policy)’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
17 | 국민건강에 일부 문제가 되더라도 거시적 국가발전을 위해 어떤 정책(예를 들어 한미 FTA)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떤 논리로 대응할 것인가? |
18 | 중요 건강정책의 결정에서 ‘국내외 대자본-고위경제관료-고위정치인-공급자집단간의 담합구조‘를 막아내는 것은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까? |
19 | 국내 저널에서 표, 그림, 참고문헌을 영문으로 해야하는가 |
20 | 왜 건강정책학회는 진보학계의 의사소통 통로로서 기능하지 못하였는가? |
21 | 무상의료는 진정 무상인가? 알고보면 국민의 세금아닌지… ‘무상‘의 함정에 빠지는 것은 아닌지… |
22 |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학병원을 선호하는가? 의료전달체계의 문제만 있는것인가? |
23 | 한국에서 한방 의료에 대한 의료보장은 필요한가? |
24 | 한국에서 의료전달체계는 여전히 유효한가? |
25 | 한국에서 ‘비만‘은 건강증진의 우선목표인가? |
26 | 국내 보건의료분야 저널을 꼭 영문화해야할까? |
27 | 학술지에 투고할때 심사료를 내는데, 심사위원으로서 논문 심사를 할 때 꼭 돈을 받아야 할까? 혹은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할때 발표료를 받아야 할까? 학계의 일원으로서 어찌보면 의무가 아닌지. |
28 | 의료광고/건강보조식품광고 이대로 괜찮은가 |
29 |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기성세대가 아닌, 특히 청년세대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 |
30 | 일반의약품 슈퍼판매를 통해 누가(어떤 집단이) 제일 이득(편익)을 보는가? |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