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광우병/한미FTA] 2013 미국 무역장벽보고 (SPS 분야)

2013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


http://www.ustr.gov/about-us/press-office/reports-and-publications/2013/NTE-FTB


한국편 (http://www.ustr.gov/sites/default/files/2013%20NTE%20Korea%20Final.pdf)

==============

2013 Report on Sanitary and Phytosanitary (SPS) Barriers to Trade

http://www.ustr.gov/sites/default/files/2013%20SPS.pdf

한국의 농업 생명공학(GMO) 규제 : 예측가능성과 투명성 결핍 지적. 2008넌 발효된 한국의
LMO법에 대해 미국 측은 여러가지 문제제기를 했음.

식품안전

1) 쇠고기 문제 : 2008년 한ㆍ미 쇠고기 협상 타결 이후 업자들이 30개월 미만의 쇠고기만 수입하기로 한 것은 한국 소비자들의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의 ‘한시적 조치’(transitional measure)라고 밝힘. 30개월 이상 쇠고기의 전면 수입 개방 압력 행사 의도를 밝힌 것으로 해석됨. 과학적 근거, 국제수역사무국(OIE) 지침, 미국의 위험통제국 지위 등에 기반해 한국이 (쇠고기) 시장을 완전 개방하도록 계속 촉구할 것이라고 밝힘. 2013년 5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선물로 쇠고기 전면개방을 요구할 가능성 높음. 2012년 미국은 한국에 총 5억8천200만 달러 어치의 쇠고기 및 관련 제품을 수출했으며, 한국은 미국 쇠고기의 전 세계 4위 시장임.
 
2) 잔류량(MRL) : 잔류량 기준이 없을 경우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와 다른 시스템을 참조. 한국정부는 여타 국가의 농산물에서 농약 및 살충제 잔류량 위반이 적발됨에 따라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잔류량 검사 강화. 미국 수출업자(여타 국가도 마찬가지)가 잔류량 검사 1회 위반할 경우 그 제품의 재배자, 선적자, 수입업자에게 위생검역조치(restrictive requirements)를
부과하는데, 이러한 조치를 해제하기 전에 몇 차례의 (잔류량 기준을 충족했음을 확인하는)
순응 선적을 요구함.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에게 현행 수준의 MRL 기준을 유지할 것을 권유할 것이며, 미국 정부는
미국의 살충제 생산업자 및 상표 등록인이 한국 식약청이 수입 시 살충제 잔류량에 대한
적절한 정보와 요구사항을 제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한국 정부와 지침을
협의할 것임.

3) 체리 :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로 훈증소독을 완화할 수 있는 대체제 관련 논의. 

[참고]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는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지정된 오존파괴물질이기
때문에 사용을 줄여야 함.. 한국의 농식품부 검역검사본부는 MB 대체약제로 화학적 소독기법
으로 목재류(EDN)  개발중, 바나나·오렌지(에틸포메이트훈증제)·절화류(포스핀훈증제) 등 
개발 및 실용화 단계, 물리적 소독기법으로 사과·복숭아(방사선 조사기법, CATTS),
절화류(전자선 조사기법) 등 개발 중임.

[참고] 미국의 대한국 체리 수출량은 2011년 3천9백만 달러에서 2012년 7천4백만 달러로
수출액 88% 증가했음. 체리는 한미FTA 발효 전보다 128.3% 매출 증가했으며, 가격은 23.4%
하락했음.

 미국 주요 농산품 대 한국 수출(단위 : 100만 달러, %)




















































































































생산품 2011년 2012년 증감
오렌지 152 217 43
아몬드 84 130 54
호두 84 103 22
체리 39 74 88
냉동 감자 54 74 36
치즈 30 62 109
냉동 오렌지 주스 11 30 173
와인 10 15 52


※자료 : 미국 농무부(USDA)

p62 KOREA

Agricultural Biotechnology

Korea’s regulatory system for agricultural biotechnology has generated concern in recent years with regard to its lack of predictability and transparency. In 2008, Korea implemented the Living Modified Organisms Act (LMO Act), which regulates trade in agricultural biotechnology products, including food and seeds for use as feed or for processing. The United States has raised a number of issues related to the LMO Act and its implementing regulations, including concerns that certain import documentation requirements go beyond the current provisions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and that Korea’s process for reviewing the product risk assessments may be redundant and lacking scientific justification. The process may also lead to delays in the approval of new products. The United States is also concerned about Korea’s narrow scope of definition for “adventitious presence.”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that the LMO Act, while nominally applying to all living modified organisms (i.e. plants and animals), was written solely with living modified plants in mind and thus does not readily apply to the trans-boundary movement of living modified animals. In late 2012, Korea’s National Assembly approved revisions to the LMO Act.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to the Act are expected to be revised in 2013 to reflect the recent changes to the Act itself. The United States i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revised Act to determine if the revisions address U.S. concerns. The U.S. and Korean governments will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address these concerns.
Korea completed approvals for five new GE plants in 2012. U.S. concerns continue, however, with regard to the lack of predictability in Korea’s agricultural biotechnology review process.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engage with Korea to avoid significant disruptions to exports of U.S. biotech products.
See section III.B for an explanation of the agricultural biotechnology trade issue.

Food Safety

Beef and Beef Products

Following a 2008 bilateral agreement to fully re‐open Korea’s market to U.S. beef and beef products, Korean beef importers and U.S. exporters have operated according to a voluntary, commercial understanding that imports of U.S. beef and beef products will be from animals less than 30 months of age, as a transitional measure, until Korean consumer confidence improves. In 2012, the U.S. exported $582 million worth of beef (including variety meats) to Korea, making Korea the fourth-largest export market for U.S. beef.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urge Korea to open its market fully to U.S. beef and beef products based on science, the OIE guidelines, and the United States’ risk status.
See section III.C for an explanation of the BSE trade issue.

Maximum Residue Limits

Korea has a national MRL list and uses a unique and complicated deferral approval process using Codex and other systems when no national MRLs are established. Korea has increased pesticide residue testing on U.S. commodities due to residue violations occurring in other countries. After a single MRL violation by a U.S. export (including one detected by authorities of another country), Korea imposes restrictive requirements on that product’s grower, shipper, and importer, and requires that they must make a certain number of compliant shipments before the sanctions are removed.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encourage Korea to maintain the current list of MRLs based on the most current available scientific data, or until Korea completes the appropriate risk assessments. The United States will also continue to seek guidance from Korea on how U.S. pesticide manufacturers and registrants may submit to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levant information and requests for the establishment of import MRLs for pesticides.
See section III.E for an explanation of the MRL trade issue.

Cherries

Korea requires U.S. cherries to undergo fumigation with methyl bromide before shipping. Replacing the fumigation requirement with alternative mitigation measures would address Korea’s phytosanitary concerns while increasing the shelf life of the cherries, thus allowing shipment by ocean vessel rather than air freight and substantially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The United States has been engaged with Korean quarantine officials since 2008 to agree on an alternative mitigation measure to methyl bromide. Korea sent inspectors to California, Washington, Oregon, and Idaho to evaluate the step-by-step process used by U.S. producers to ensure that various pests are controlled during the growing season. This gave Korean official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S. system and ensured that trade continued while both sides work to find an alternative mitigation measure to methyl bromide fumigation.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work with Korea on this issue.


미국 USTR “한국 쇠고기시장 전면개방 압박 지속”(종합)


연례 무역장벽보고서…”한미 FTA로 공정경쟁 증진”


지난해보다 정보기술(IT) 서비스 관련 언급 늘어


출처 : 연합뉴스 2013/04/02 10:32 송고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3/04/02/0320000000AKR20130402053551071.HTML?template=2087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 미국 정부가 한국 쇠고기 시장의 전면 개방을 위한 압박을 계속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일(현지시간) 발간한 ’2013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에서 “과학적 근거, 국제수역사무국(OIE) 지침, 미국의 위험통제국 지위 등에 기반해 한국이 (쇠고기) 시장을 완전 개방하도록 계속 촉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2008년 한ㆍ미 쇠고기 협상 타결 이후 업자들이 30개월 미만의 쇠고기만 수입하기로 한 것은 한국 소비자들의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의 ‘한시적 조치’(transitional measure)라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미국은 한국에 총 5억8천200만 달러 어치의 쇠고기 및 관련 제품을 수출했으며, 이에 따라 한국은 전 세계 4위 시장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는 지난해 3월 정식 발효된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자동차 부문 등에서 공정경쟁과 시장접근성이 확대됐다”면서 서비스ㆍ금융시장 개방, 비관세 장벽 해소 등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산업보조금 정책’과 관련해서는 산업은행을 지목한 뒤 “여전히 정부 소유이지만 상업 은행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산업은행을 비롯한 정부 소유 금융기관들의 대출 정책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적재산권보호’ 분야에서는 “한국에는 대체로 강력한 지적재산권 보호법이 갖춰져 있다”고 전제한 뒤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해적행위, 공공부문의 소프트웨어 무단사용, 대학 내 서적 불법복사 등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 합법적인 사용을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USTR 보고서에서 정보기술(IT) 서비스와 관련된 언급은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늘어났다.


보고서는 금융부문에서 금융정보처리의 국외 위탁을 막고 있는 한국의 규제가 외국 금융업체들로 하여금 한국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견해를 보였다. 온라인 상거래 때 고객 개인정보를 국외에 저장하지 못하게 하는 한국의 정책에 대해서는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규제”로 여겨진다고 밝혔다.


고해상도 지리정보를 국외에 저장하지 못하게 하거나, 한국 방송통신위원회가 법안 발의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규제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려 하는 데 대해서도 보고서는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USTR 보고서는 한국 국방부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사이에 소프트웨어 사용료 분쟁이 발생한 데 대해 ‘허가를 받지 않은 상당량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자국 편향적 입장을 보였다.


‘의약 및 의료기기’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의 관련업체들이 (한국의) 가격 결정 및 보험급여의 투명성 부족에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시해 왔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밖에 샘플화장품 유통기한 표시 의무화, 자동차안전기준(KMVSS), 휴대전화 전자파 인체 흡수율(SAR) 규정, 투자 관련 규제 등에 대해 미국 업계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면서 이를 사실상 ‘무역장벽’으로 규정했다.


한편 보고서는 한미 FTA가 발효되면서 지난해 한국에 수출된 미국산 자동차가 2011년보다 50% 증가했다고 추산했다.



humane@yna.co.kr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