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종AI 높은 변이·전파력에 보건당국 촉각
가금류에 질환 일으키지 않은채 전파 가능…돼지 감염 가능성도
출처 : 연합뉴스 2013년 4월 4일
중국에서 발생한 신종 조류인플루엔자(AI)에 전세계 보건 당국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H7N9형 AI 바이러스가 사람에 감염돼 결국 사망한 첫 사례인데다가 높은 변형력과 전파력을 가졌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타난데 따른 현상이다.
4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신종 AI 바이러스를 연구한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가금류에 별다른 질병을 일으키지 않은 채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먼저 우려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일본 인플루엔자 연구소의 타시로 마사토 박사는 이런 현상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면 “주변의 동물들이 감염된 지 모르는 상태에서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며 “훨씬 우려할만한 일”이라고 말했다.
홍콩대학의 미생물학자 말리크 페이리스는 “가금류의 폐사 현황으로 H5N1형 AI바이러스 전염을 알 수 있었다는 점과 비교할 때 만약 H7N9 바이러스가 가금류 발병 없이 중국 이외 지역으로 전파된다면 훨씬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보건 당국자들에 따르면 아직 H7N9 바이러스가 사람 사이에서 쉽게 전파된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WHO의 그레고리 하틀 유행성 감기 및 전염병 분과 대변인이 “사람을 통해 감염되지 않으면 (중국발 신종 AI가) 전염병이 될 가능성이나 위험은 낮다”고 강조한 발언 또한 사람끼리 감염된 사례가 없었음을 전제로 한 말이다.
H7N9 바이러스가 과학자들을 긴장시키는 이유는 또 있다.
이 바이러스가 돼지에 감염되도록 변이될 가능성이다.
그 경우 사람들이 흔히 걸리는 독감 바이러스와 신종 AI 바이러스가 결합해 강력한 전파력을 가진 또다른 바이러스가 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을 비롯해 대만과 홍콩, 태국 등 중국과 가까운 나라의 검역 당국은 일제히 대비 태세를 강화했다.
베트남은 중국 접경에서의 가금류 반입과 교역을 금지했다.
이날 오전까지 중국에서 H7N9형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9명이고 그중 3명은 목숨을 잃었다.
(서울=연합뉴스)
======================
[참고] 쑤이런(蘇益仁) 대만 국가위생연구원 전염병연구소 소장(国家卫生研究院感染症与疫苗研究所所长)은 “중국 당국이 발표한 감염 사례가 모두 위중하고 서로 가족 관계나 업무상 연관성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라면서 “이는 해당 바이러스가 주변 지역에 이미 퍼졌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
- 입력:2013.04.03 18:44
- 수정:2013.04.03 22:25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048756&cp=du
중국발 신종 조류인플루엔자(AI)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안심시키고 있지만 각종 의혹은 꼬리를 물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AI 바이러스는 H7N9형으로 사람이 감염돼 사망에까지 이른 것은 세계 최초다. 과거 AI 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람이 사망한 사례가 있었지만 주로 H5N1형 바이러스였다.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의 전염병 통제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중국이 첫 사망자를 발표한 것은 지난달 31일이었다. 하지만 실제 사망일이 지난달 초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이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시기를 피해 사망자 발표를 3주 이상 늦췄다는 주장이 가능하다. 중국 당국의 발표대로 최종 확진까지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믿는다 해도 더 큰 문제가 남아 있다. 대규모 사망으로 이어졌던 사스(SARS·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가 발생한 지 10년이 넘어서도 바이러스의 실체를 규명하는 데 3주 이상 걸릴 정도로 중국 당국의 대응 능력이 향상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신종 AI 사태가 최근 상하이 황푸강에서 1만6000여 마리의 돼지 사체가 발견됐던 것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저서 ‘전염병(The Coming Plague)’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로리 가렛은 2일(현지시간) 포린폴리시(FP)에 기고한 글에서 “최근 잇따라 발생한 돼지와 오리의 폐사가 인간의 죽음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면서 “중국의 최근 상황은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상하이시 당국은 이번 H7N9형 바이러스의 소스가 돼지로부터 왔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첫 번째 사망자 중 한 명이 돼지 유통업자였다는 점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정부 발표가 신뢰를 잃고 있다.
이미 신종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확산됐을 가능성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쑤이런 대만 국가위생연구원 전염병연구소장은 “중국 당국이 발표한 감염 사례가 모두 위중하고 서로 가족관계나 업무상 연관성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라며 “이는 해당 바이러스가 주변 지역에 이미 퍼졌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중국 보건당국은 저장성에서 신종 AI 확진 판정을 받은 2명 중 38세 남성이 사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사망자는 3명으로 늘었다. 지난달 7일쯤 발병해 18일 병원으로 옮겨진 이 남성은 24일 병세가 악화되기 시작해 27일 사망했다. 사망 후 일주일 만에 사망 사실이 공식 발표되면서 또다시 중국 당국의 보고 체계에 문제점을 드러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
=====================
<중국 신종 AI 감염경로 '미스터리'>
사람 간 전염 가능성도 배제 못 해
연합뉴스 입력 2013.04.04 10:37 수정 2013.04.04 10:59
사람 간 전염 가능성도 배제 못 해
(베이징=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사람에서 처음 발견된 H7N9형 조류인플루엔자(AI)의 감염 경로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확진 환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가금류와 전혀 접촉이 없던 것으로 조사돼 사람 간 감염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4일 중국 보건 당국의 발표를 종합하면, 현재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H7N9형 AI 확진 환자는 모두 9명이다.
이 가운데 AI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가금류 또는 돼지 등 가축과 접촉이 확인됐거나 접촉 가능성이 큰 환자는 4명이다.
안후이성 환자 한(韓)모씨는 가금류 또는 돼지와 접촉한 것이 확인됐고, 장쑤성 환자 쉬(許) 모씨는 가금류 도축업에 종사했다.
상하이시 환자 우(吳) 모씨(3월 4일 사망)는 가금류를 접촉하지는 않았지만, 돼지고기 판매업에 종사했고, 저장성 환자 훙(洪) 모씨(3월 27일 사망)는 요리사여서 생가금류나 돼지고기 접촉이 잦았다.
그러나 상하이시 사망자 리(李) 모씨를 포함한 나머지 확진 환자 5명은 가금류와 접촉이 전혀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감염 경로가 명확히 파악되지 않자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가금류나 돼지와 접촉이 많은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더라도 신종 AI에 감염될 수 있다는 공포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H7N9형 AI는 노약자는 물론 청년층에게도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9명의 환자 가운데 4명이 20∼30대의 건장한 청년이었고, 사망자 3명 가운데 2명은 20∼30대였다.
특히 가금류나 돼지와 직접 접촉 없이 H7N9형 AI에 걸린 사람들이 전체 환자의 절반을 넘자 사람 간에도 전염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H7N9형 AI 바이러스가 사람 간에 퍼질 수 있다면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어 중국 정부는 물론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국제 보건 당국도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국민의 동요를 막으려고 “사람 간에 H7N9형 AI 바이러스 확산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중국에서 가금류와 야생 조류에서는 H7N9형 AI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집단 폐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존에 사람도 걸렸던 H5N1형 AI와 달리 H7N9형 AI 바이러스가 조류에는 별다른 감염력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사람에게만 유독 치명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한다.
조류가 H7N9형 AI 바이러스의 숙주 역할을 하면서 인간에게 병을 옮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조류나 돼지의 집단 폐사 상황을 통해 바이러스 창궐 지역을 미리 예상할 수 없게 돼 질병 확산 통제에 어려움이 수반된다.
홍콩대학의 미생물학자 말리크 페이리스는 “가금류의 폐사 현황으로 H5N1형 AI 바이러스 전염을 알 수 있었다는 점과 비교할 때 만약 H7N9 바이러스가 가금류 발병 없이 중국 이외 지역으로 전파된다면 훨씬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cha@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