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라트 미탈리포프(Shoukhrat Mitalipov) 교수가 <셀>지에 발표한 줄기세포 논문의
오류를 인정했다는 소식입니다. 그는 의도하지 않은 실수(innocent mistakes)라고 표현했네요.
그는 ““The results are real, the cell lines are real, everything is real(연구결과가 실제로 있으며,
세포주도 실재(實在)하고 있으며, 모든 것이 진짜다)”라고 밝혔는데요… 예전에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 당시에도 이와 비슷한 변명이 있었는데… 이 논문의 진실성 여부는 조금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Nature | News
Stem-cell cloner acknowledges errors in groundbreaking paper
Critics raise questions about rush to publication.
Updated:
http://www.nature.com/news/stem-cell-cloner-acknowledges-errors-in-groundbreaking-paper-1.13060
A blockbuster paper that reported the creation of human stem-cell lines through cloning has come under fire. An anonymous online commenter found four problems in the paper, which was published online on 15 May in the journal Cell1.
Shoukhrat Mitalipov, who led the stem-cell team, told Nature that three were innocent mistakes made while assembling the data. The fourth, he says, was not a problem at all. To many in the field there was an unfathomably rapid rush to publication: just three days from submission to acceptance and another 12 days to publication.
“The results are real, the cell lines are real, everything is real,” says Mitalipov, a reproductive-biology specialist at the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in Beaverton.
Mitalipov says he returned from Europe on Wednesday and found himself swamped with e-mails and calls from editors at Cell, as well as from journalists. “I just got home a couple hours ago. The editors, everyone was going crazy,” he says.
Image duplication
- Journal name:
- Nature
- DOI:
- doi:10.1038/nature.2013.13060
Mitalipov says he consulted first author Masahito Tachibana, who compiled the data for the paper, and confirmed that the paper contains simple errors. The scientists say that they plan to talk to Cell today to discuss an erratum.
The problems were raised in a critique on PubPeer, a website where people can make anonymous comments about published papers.
The first problem was an image duplication. Figure 2F, which shows a cloned stem-cell colony “with typical morphology”, is reproduced in the top left of Figure 6D where it is labelled as “hESO-7” — an embryonic stem-cell line derived not from cloning but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Mitalipov says that the duplication was intentional but that the labelling was reversed. The top left panel in 6D should have been labelled hESO-NT1, indicating a cloned colony, as in Figure 2F. The top right figure should have been hESO-7.
He says that label reversal also explains another set of duplicated images — the top right figure in 6D and the top right figure in Supplementary Figure S5. With the labels reversed, the identical images are both representing the hESO-7 cell line. “Then everything falls into place,” Mitalipov says.
Double trouble
Even so, the decision to use the same image to illustrate two different properties, once to show typical morphology (2F) and once as a basis for comparison of cell markers between embryonic stem cells from normal IVF embryos and cloned embryos (6D), is “not ideal,” says Martin Pera, a stem-cell expert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It’s considered bad form, unless you have a reason to do it.”
Mitalipov says the decision was made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available photographs that had a measure bar on the image.
The anonymous critic pointed out that the paper also contained duplications in scatterplot images, which show that the types of genes activated in the cloning-derived cell lines are similar to those in stem cells derived from IVF embryos — evidence that cloning yields true stem cells. In Figure S6 in the supplementary data, two scatterplots are identical. Mitalipov says that the wrong data were used for one scatterplot and that it will be replaced by the correct scatterplot.
Another question concerned other scatterplots in the supplementary data (also Figure S6). Two of them show a thin line indicating a very high degree of overlap — each is 99.8% — in the pattern of gene activity between two cell ‘replicates’. These are cloned stem cells from the same original colony that were then cultured in different plates. One would expect those patterns to be close, but the anonymous critic said that they are too close. Mitalipov says that they just turned out that way and that the raw data are online for anyone to look at.
“The explanations [by Mitalipov] are plausible, but we will have to wait for the results of a thorough investigation,” says Pera.
Robin Lovell-Badge, who heads the Division of Stem Cell Biology and Developmental Genetics at the Medical Research Council’s Nationa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in London, also warns against quick judgement. “I expect the errors above were also due to the rush to publish. The authors should be given a chance to answer and correct mistakes.”
Anyone with access to the cells should be able to confirm that they were created by cloning. The embryonic stem-cell lines should have the nuclear DNA from the fibroblast cell line that was cloned — a line widely used by the scientific community (or available from Mitalipov) — but mitochondrial DNA from the egg donor.
Rush to publish
Mitalipov is now consulting his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putting together material-transfer agreements with some ten institutions so that others will have a chance to see his cells. “The first thing we want to do is have people confirm our results,” he said. “We are not hiding these cell lines.”
Many scientists were shocked that Cell accepted the paper in just three days, especially given the scientific and ethical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field of cloning. The last group that claimed to have created human embryonic stem-cell lines from cloning — led by Woo Suk Hwang, then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 produced two papers, in 2004 and 2005, which both turned out to be full of fabricated data that papered over the fact that the group had never produced cloned cell lines. The first doubts to emerge came in the same form: duplicated and manipulated images.
“Whatever the explanation is, it’s amazing that there is another issue with a paper in SCNT [somatic-cell nuclear transplantation]. The four-day review process was obviously inadequate,” says Arnold Kriegstein, director of the stem-cell programm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It’s a degree of sloppiness that you wouldn’t expect in a paper that was going to have this high profile. One worries if there is more than meets the eye and whether there are other issues with the work that are not as apparent.”
Six years ago, when Mitalipov created cloned embryonic stem cells in monkeys, editors at Nature forced him to wait some six months for publication until the feat was verified independently. Both the original paper and the confirmatory data were published together2, 3. “This time, we’re a trusted lab. We had already shown our results were real,” Mitalipov said.
Mitalipov admits he wanted to rush publication this time so that he could present results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 meeting in June. “Maybe it was rushed. But it was nothing to do with Cell,” he said. “It was my mistake.”
He plans to issue an erratum quickly. “We are working with Cell to have a proper statement.” Mitalipov said he takes full responsibility for the final results, even though Tachibana assembled the data. “There was lots of stress in putting together all these images. I don’t want to say this was his fault.”
But he stands by the results. “I personally made the cell[s] and, with Masahito, I saw them grow into colonies.”
줄기세포 연구논문결과의 오류인정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record_no=238999&cont_cd=GT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3-05-27
최근 인간줄기세포주를 복제를 통해서 만들어냈다는 블록버스터 급의 발표가 너무 급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5월 15일에 학술지 ‘Cell’지에 발표된 논문에 대해서 이름을 밝히지 않은 논평자는 온라인 상에서 이 논문의 네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번 줄기세포 연구를 이끈 쇼크라트 미탈리포프(Shoukhrat Mitalipov)는 <네이처>지와의 인터뷰에서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세 가지 의도하지 않은 실수를 저질렀다고 인정했다. 그리고 네 번째 문제점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분야에서 많은 사람들은 이번 연구결과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빨리 논문을 출판했다: 연구논문이 제출과 평가결과가 이루어진 후 3일 만에 발표되었으며 다른 연구결과는 12일 만에 발표했다.
미국의 오리건 보건과학대학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의 생식생물학 전문가인 미탈리포프는 “연구결과는 실제하고, 세포주도 실제하고 있으며, 모든 것이 실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탈리포프는 지난 수요일에 유럽에서 돌아왔을 때,
이 논문에 대한 비판은 사람들이 발표된 논문에 대해서 익명으로 논의하는 웹사이트인 <펍피어 (PubPeer)>에서 발표되었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문제는 이미지를 이중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발표된 <사진 2F>로 ‘전형적인 형태’를 가진 복제된 줄기세포군체로 사용되었지만, <사진 6D>의 상단 왼쪽의 사진에서 다시 사용된 것으로, 이 사진은 복제를 통해서 형성된 배아줄기세포가 아닌 인공수정 (IVF)을 통해서 형성된 배아줄기세포주로 ‘hESO-7’이다. 미탈리포프는 이 복제의 문제는 의도적인 것이지만 라벨링이 거꾸로 되어있다고 밝혔다. <사진 6D>는 <사진 2F>에서처럼 복제된 군체라고 표시되는 ‘hESO-NT1’이라고 라벨이 되어야 했었다. 이 사진의 상단 오른쪽도 ‘hESO-7’로 표시되어야 했었다. 이에 대해서 라벨을 거꾸로 붙이는 것은 다른 복제된 이미지 세트를 설명한다고 말했다. 이것은 <사진 6D>에 실린 상단 오른쪽의 사진이며 부록으로 첨부된 <사진 S5>의 상단 오른쪽의 사진이다. 이 라벨을 거꾸로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이미지는 hESO-7세포주를 재현하고 있다. 미탈리포프는 “그리고 모든 것이 정확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두 가지 다른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서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 일단 전형적 형태학 (2F)을 보여주고 일단 정상적인 IVF 배아에서 얻어진 배아줄기세포와 복제된 배아 (6D) 사이의 세포 마커를 비교하는 기반으로 사용되는 것은 ‘이상적인 것은 아니다’고 호주의 멜버른 대학 (University of Melbourne)의 줄기세포 전문가인 마틴 페라 (Martin Pera)는 주장했다. 그는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가 없다면 이것은 잘못된 형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서 미탈리포프는 사용 가능한 제한적인 숫자의 사진들로 인해서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익명의 비판자는 이 논문은 또한 산포도 이미지에서도 복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 이미지는 복제를 통해 만들어진 세포주에서 활성화되는 유전자 형태가 IVF 배아에서 만들어진 줄기세포의 유전자 형태가 유사하며 이것은 복제를 통해서 실질적인 줄기세포를 생산했다는 증거가 된다. 부록으로 첨부된 <사진 S6>에서 두 개의 산포도 이미지가 일치한다. 미탈리포프는 한 가지 산포도 이미지에서 잘못된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교정된 것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문제는 부록에 첨부된 다른 산포도 (사진 S6)에서 발견된다. 이들 산포도 중에서 두 가지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중복되는 가는 선이 (각각 중복수준은 99.8%이다) 두 개의 세포 ‘복제’ 사이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활성화의 패턴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각기 다른 배양접시에서 배양된 동일한 기원을 갖는 군집체에서 만들어진 복제된 줄기세포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패턴이 가깝게 나타난다고 예상할 수 있지만 익명의 비판자는 이들의 패턴은 너무 가깝다고 주장했다. 미탈리포프는 이렇게 나타났을 뿐이며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원데이터를 온라인 상에 올려 놓았다고 밝혔다. 페라는 “미탈리포프의 설명은 그럴 듯하다. 하지만 우리는 완전한 조사의 결과를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런던의 의학연구위원회 소속 (MRC)의 국립의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의 줄기세포 생물학 및 발달유전학 분과장을 맡고 있는 로빈 러벨-배지 (Robin Lovell-Badge)는 너무 이른 판단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그는 “나는 이러한 오류가 너무 급하게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저자들은 이 비판에 대해 답할 기회를 주어야 하며 실수를 교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 세포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은 복제를 통해서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배아줄기세포주는 복제된 섬유아세포 (fibroblast) 주의 핵DNA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 세포주는 학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난자를 기증한 사람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갖고 있어야 한다. 미탈리포프는 현재 연구소의 평가위원회의 의견을 듣고 있으며 그의 세포를 조사할 수 있는 다른 열 개의 연구소와의 공유동의서를 만들고 있다. 그는 “우리가 하려는 첫 번째 것은 우리의 결과를 사람들이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들 세포주를 숨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많은 과학자들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프란시스코 (UCSF)의 줄기세포 프로그램 소장인 아놀드 크리그스틴 (Arnold Kriegstein)은 “그들의 설명이 어떻든지 간에 체세포 핵 이식 (SCNT) 논문에서 문제가 나타났다는 것은 놀랍다. 4일에 걸친 평가과정도 적절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는 논문에서 이러한 허점이 나타난다는 것은 놀랍다. 한 가지 문제는 단순히 발견된 것뿐 아니라 밝혀지지 않은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문제 여부”라고 말했다.
6년 전에 미탈리포프는 원숭이에서 복제된 배아줄기세포를 만든 바 있으며 <네이처>의 편집자는 이 특성이 확인될 때까지 6개월 동안 기다리도록 했다. 원논문과 확인된 데이터가 함께 발표되었다. 미탈리포프는 “이번에 우리는 신뢰도가 높은 실험팀이다. 우리는 이미 우리의 데이터가 실제라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미탈리포프는 그는 이번에 연구결과를 빨리 발표하고 싶었으며 그래서 6월에 있게 될 국제줄기세포연구 학회 (International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에서 발표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인정했다. 그는 “아마 너무 서둘러 발표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그는 빨리 오류를 수정할 계획을 갖고 있다. 미탈리포프는 “우리는
최근 업데이트:
출처: <네이처> 2013년 5월 23일 (Nature doi:10.1038/nature.2013.13060)
원문참조:
Tachibana, M. et al. Cell http://dx.doi.org/10.1016/j.cell.2013.05.006 (2013).
Byrne, J. A. et al. Nature 450, 497?502 (2007).
Cram, D. S., Song, B. & Trounson, A. O. Nature 450, E12?E1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