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대안 젠더건강팀의 윤정원 선생님이 최근 발표하신 논문입니다.
전반적으로 선모들의 상급병실 선호는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소득과 지역에 따라 상급병실을 이용하는 비율에는 차이가 난다는 연구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록>
Purpose : Demand of specialized maternity ward is increasing as national income level rises. Howev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imits the number of hospital’s non-standard room to less than 50% of total hospital bed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non-standard room among the Korean women who recently delivered baby in medical facil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election.
Methods : One hundred sixty six medical facilities which deliver a minimum of ten cases in the year 2011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y type, region, and siz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done in November 2012 by a professional research survey company. Eight hundred and two pregnant women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rough a face-to-face interview.
Results : Of the 802 expecting mothers, 690 (86%) occupied non-standard room and 684 (85.2%) preferred non-standard room to the standard room. Satisfac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occupying non-standard room [5.9±1.0 vs. 5.4±1.2 (0-7 scale), P<0.01] and high-income families used non-standard room more often. Reasons for using non-standard room included adequate convalescence (78%), separate place for breastfeeding (6.1%), and convenience on receiving visitors (5.4%). Preference for non-standard room on next visit was higher in case of delivery compared to other cause of hospitalization (81.8% vs. 44.9%, P<0.001).
Conclusions : Preference and actual use of non-standard room after delivery was significant. In spite of concrete preference, there was certain barrier in use of non-standard room according to income and types of hospitals. Therefore, changes of policy are needed such as insurance support for room charge in case of delivery.
Key Words : Patients’ rooms, Maternal health service, Availability, Delivery, Postpartum
“ 본 연구에서는 산모들이 일반적으로 상급병실 선호가 높지만, 소득별, 지역별로 실제 의료 이용에 있어서 형평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등은 선행 연구에서 실제 의료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도 저소득층일수록 의료서비스 이용 빈도와 대형병원 이용율이 떨어짐을 밝힌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상급병실 사용에 있어 의료보호일수록, 가계 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대형 병원에 입원한 산모에게서 상급병실 이용율이 낮음을 볼 수 있었다. 2000년대 이후 다양한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정책과 저소득층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소득수준별 보건의료 이용의 형평성에 대한 문제는 보건의료정책의 주요 해결과제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여성은 빈곤, 장기간 노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임신중독증,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증, 조기 양막파수, 조산, 사산, 임신성 당뇨병 등 임신 관련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다. 이러한 중증도 질환이 있는 경우 상급 병실의 가격이 높은 대형 병원의 이용이 필요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저소득층에게 상급 병실료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가 될 수 있다.”(연구내용 중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