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2015년 WHO 당분섭취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업 영향력 분석

첨부파일

SugarGuideline.pdf (708.61 KB)

국제보건기구(WHO)의 가이드라인 작성 과정은 ‘상대적으로’ 기업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롭다.
첨부 파일로 링크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WHO의 당분 섭취 가이드라인의 초안과 최종안의 텍스트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업의 영향력을 평가.
그 결과 마이너한 변화가 있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근거에 입각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한 것으로 평가.
물론 저자들도 지적한 것처럼 초안과 최종안을 비교한 것이므로, 초안 자체에 반영되어 있는 기업의 영향력은 평가할 수가 없고, 텍스트 분석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표현 자체에 이미 기업의 영향력이 녹아들어가 있는 것도 평가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지만, 이와 같은 분석 방법도 재밌는 것 같아 공유합니다.

저자들은 논문의 주된 결론과 상관없이 최근 식품기업의 로비 전략도 잘 정리해주고 있는데요,
첫째는 확정적 사실에 대한 의심을 만들고 복잡하게 만들고 혼란스럽게 만들기.
포도당, 과당, 설탕의 건강 영향이 서로 다르다고 하거나, 첨가당이 아니라 당분 총량이 중요하다고 하거나 등 대중이 당분과 건강 영향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

두번째 전략은 과학 연구에 대한 비현실적 완결성을 요구하기.
실험적 연구가 아닌 관찰 연구는 근거가 약하다, 상대위험도가 2이하인 연구는 제외해야 한다는 둥의 괴변을 일삼기.

셋째, 대중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비만의 원인은 당분이 아니라 운동부족이라고 주장하며 운동 관련 연구를 지원하기, 치아 건강을 위해 당분 섭취를 줄이자는 얘기 대신 수돗물 불소화를 하자 불소가 포함된 치약을 쓰자는 등의 2차, 3차 해법을 더 강조하기.

이제는 너무 뻔하게 느껴지지만 아직도 한 국가 정책 결정 과정 내에서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담배기업, 알콜기업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건강파괴기업들의 고유한 전략들

“Textual analysis of sugar industry influence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2015 sugars intake guidelin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