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2025년 상반기 세미나]극우의 부상과 소셜 미디어

세계적으로 극우의 부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극우 정치는 사회 전반적인 불만에 기대어, 그러나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방향으로 ‘체제 전쟁’을 벌이고 이를 선전합니다. 극우의 부상은 자본주의 체제의 다중적 위기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이들의 요구와 주장이 확산되는데 소셜 미디어의 역할도 주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건강과대안은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 양극화와 극우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논의해보고자 이번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기여와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 4월 24일(목)부터 6월 19일(목)까지 격주 목요일 오후 4시 – 6시 (2시간)
장소 : 건강과대안 공부방(뚝섬역 인근)

참가 신청 링크 https://forms.gle/eekFrQ7Yi9NdLSxK7

주 텍스트
크리스 베일, < 소셜 미디어 프리즘>, 상상스퀘어, 2023.

보조 텍스트
1. 포퓰리즘과 소셜 미디어
Hopster, J. (2021). Mutual affordances: The dynamics between social media and populism. Media, culture & society, 43(3), 551-560.

2. 정치적 양극화와 소셜 미디어
Kubin, E., & Von Sikorski, C. (2021). The role of (social) media in political polar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45(3), 188-206.

3. 사회통합과 소셜 미디어
González‐Bailón, S., & Lelkes, Y. (2023). Do social media undermine social cohesion? A critical review. Social Issues and Policy Review, 17(1), 155-180.

4. 디지털 활동주의와 소셜 미디어
Castillo Esparcia, A., Caro Castaño, L., & Almansa-Martínez, A. (2023). Evolution of digital activism on social med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5. 사회운동과 소셜 미디어
Della Porta, D. (2023). Communication in progressive movement parties: against populism and beyond digitalism. In Understanding Movement Partie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pp. 18-34). Routledge.

| 75명이 읽음
미분류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